스포츠조선

[인터뷰 종합] "'짝'과 유사점 인정" '스트레인저' PD…"비혼주이 많이 늘어→결혼하기 힘든 시대"

고재완 기자

기사입력 2020-10-28 11:21


남규홍 PD. 사진제공=스카이TV

[스포츠조선 고재완 기자] 일반인 연애 예능의 새 장을 열었던 SBS '짝'의 남규홍 PD가 디스커버리 채널 코리아와 NQQ가 공동제작한 '스트레인저'로 다시 돌아왔다.

지난 14일 첫 방송한 '스트레인저'는 오직 사랑에만 집중할 수 있는 공간에서 12명의 남녀가 사랑을 찾아가는 과정을 사실적으로 보여주는 리얼리티 데이팅 프로그램이다. 연예인이나 셀럽이 아닌 일반인 출연자들이 참여해 보다 리얼한 러브스토리와 함께 남녀의 심리와 행동을 파헤치는 관찰 예능 프로그램으로 '짝'과 유사한 콘셉트로 관심을 모았다.

'남자 ○호' '여자○호' 대신 12명의 출연진들이 각자의 성(姓)으로 예상되는 한 글자가 새겨진 티셔츠를 입은 것은 다르지만 남자 7명, 여자 5명으로 성비를 불균형하게 설정한 것은 물론 서로의 직업이나 나이, 이름조차 공개하지 않고 첫인상을 시작으로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부터 시작된다는 점도 유사하다. 때문에 낯선 남녀 12명이 선보일 러브스토리와 함께 앞으로 이들의 관계가 방송에서 어떻게 펼쳐질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연출을 맡은 남규홍 PD는 28일 서울 상암동 DDMC빌딩에서 인터뷰에서 "'짝' 이후에 일반인 데이팅 프로그램이 많이 생겼지만 우리는 나이대가 더 높다. 또 가볍거나 재미로 빠지거나 기타 방송을 위한 제스처에 머무는 것을 하고 싶지는 않다. 나는 그런 것을 하면 두드러기가 날 것 같다"며 "시청자들이 보는데 '소중한 시간은 낭비하지 말자' '내가 하고 싶은 것 하자'는 생각을 했다. 최근 만들어지고 있는 데이팅프로그램은 대부분 가볍게 가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스트레인저'는 내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내 가치에 맞는 방향으로 가자는 생각을 했다. '짝'의 정신을 그대로 가져오자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스트레인저. 사진제공=스카이TV
"물론 '짝'을 할 때는 집착을 많이 했다. 그래서 '짝'에는 시청자도 잘 모르는 정교한 포맷이 많이 나온다. 그런데 지금은 내부 형식, 껍데기보다 '뭐가 더 중요한가'라는 생각을 했다. '그때 내가 왜 집착했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본질에 충실하려고 한다."

'짝'에서는 '남자○호', '여자○호'라는 호칭을 썼다. "그때도 주위에서 '왜 죄수번호를 프로그램에 쓰냐'면서 '비인간적'이라고 다 바꾸라고 했다. 하지만 정착됐다." 이번에는 성을 부른다. "일반인의 이름을 부를순 없다. 요즘은 개인 신상명세가 다 뜬다. 그래서 어떤 호칭을 쓸까 고민을 많이 했다. 유니폼을 입히는 것은 사복을 입으면 제작진이 감당할수가 없기 때문이다. 본질에 집중해야하는데 집중할 수가 없기 때문에 유니폼은 필요하다."

남성의 직업이나 환경에 따라 여성의 선택이 달라지는 분위기에 대해서는 "우리가 억지로 끌고가는 것은 없다. 당연히 직업도 이성을 선택하는데 중요한 부분이다. 부정하면 그게 더 이상하다"면서도 "그런 것들을 개념치 않는 사람도 있다. 그것도 살려야한다. 첫회에도 치과의사가 두분이나 출연했지만 선택에는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매력이다"라고 전했다.


남규홍 PD. 사진제공=스카이TV
일반인의 검증문제에 대해선 "'짝'때도 3년동안 부딪혔던 문제다. 안정장치를 많이 하고 크로스체크를 한다. 문제가 될 수 있는 소지가 있나 점검을 한다. 또 평범하고 별 특징없는 사람도 잘 연출하고 제작한다면 그 이상 뽑을수 있다는 생각으로 욕심을 내지 않는 방향으로 하고 있다. 안전한 사람으로 가야 문제가 안생긴다. 오랫동안 경험하면서 느낀 결과다"라고 못박았다..


"예전 '짝'을 할때와 차이점은 시간이다. '짝'을 할때는 7~8년 전이다. 특정 장소에서 오랫동안 만남을 가지면서 적절한 타입의 이성을 찾는다는 구성 방식은 비슷하다. 내가 다큐 PD라 VCR에 내레이션은 익숙한 장치다. '짝'과 비슷한 것들이 있다는 것은 부인하지 않는다. 차이점은 계속 찾아갈 수밖에 없다. 피하고 싶은생각은 없다. SBS에 포맷사용료를 주는 한이 있더라도 하겠다고 했다. 얼마든지 다르게 만들수 있겠다. 지금은 SBS와는 합의해서 하고 있다."


남규홍 PD. 사진제공=스카이TV
또 남 PD는 '짝'때 출연자들과 비교해 "옛날에는 출연자들과 인터뷰를 하면 결혼을 하고 싶어했는데 요즘에는 결혼하고 싶어하는 생각이 적어졌다. 비혼주의자라는 말을 많이 하더라"며 "'짝' 때는 3년 동안 거의 안나온 단어였다. 이번에는 첫회부터 나오더라. 흔한 말이 됐나라는 생각이 든다. 지금 출연자 인터뷰에서는 비혼 얘기를 많이 듣고 있다. 결혼하기 힘든 시대가 되지 않았나 싶다. 사랑하기 어려운 시기이기도 하다"라고 전했다.

'짝'은 2011년부터 2014년까지 SBS에서 방송했던 일반인 연애 프로그램으로 시작부터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실제 결혼하는 커플이 16쌍이나 탄생하며 이슈를 만들었고 '꽃탕' '마파도' '정글러브' 등 여러아류작을 탄생시킬 정도로 인기 프로그램이었다. 그리고 2020년 '스트레인저'라는 이름으로 '남규홍표' 진짜 리얼 데이팅프로그램이 다시 안방을 찾고 있다. '스트레인저'가 '짝'의 인기를 이어받아 센세이션을 일으킬 수 있을까.


고재완 기자 star77@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