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SC초점] "'기생충' 수상=세계의 승리!'..미국-일본-중국도 아카데미 작품상에 일제히 박수

문지연 기자

기사입력 2020-02-10 15:29


AP=연합뉴스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완전히 '기생충'으로 세계를 장악했다. 외신들의 반응도 뜨거웠다. '백인주의의 영화축제'에서 '기생충'이 새 역사를 썼다는 반응이 지배적인 가운데,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에 대한 반응이 한국을 넘어 외국에서도 뜨겁다.

이변의 연속이었지만, 결국에는 당연했던 평가였다. 영화'기생충'(봉준호 감독, 바른손이앤에이 제작)이 한국 영화 최초로 10일 오전(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할리우드 돌비 극장(Dolby Theater)에서 열린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갱상과 국제영화상, 감독상, 그리고 작품상까지 4관왕의 영예를 안으며 돌풍을 일으켰다.

'기생충'의 봉준호 감독은 ''아이리시맨'의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 '조커'의 토드 필립스 감독, '1917'의 샘 멘데스 감독, '원스 어폰 어 타임...인 할리우드'의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과의 경쟁 속에서 당당히 감독상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갱상에서도 '나이브스 아웃'(라이언 존슨 감독), '원스 어폰 어 타임...인 할리우드'(쿠엔틴 타란티노 감독) 등과의 경쟁에서 앞섰고, 국제영화상 후보에 올랐던 '문신을 한 신부님'(얀 코마사 감독, 폴란드)과 '허니랜드'(루보미르 스테파노브·타마라 코테브스카 감독, 북마케도니아), '레 미제라블'(라지 리 감독, 프랑스), '페인 앤 글로리'(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 스페인) 등과 경합을 펼친 뒤 트로피를 머리 위로 높게 들었다.

'기생충'은 전원 백수인 기택(송강호)네 장남 기우(최우식)가 가족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으며 박사장(이선균)네 과외선생 면접을 보러 가며 시작되는 예기치 않은 사건을 따라가는 가족희비극이다. 송강호, 이선균, 조여정, 최우식, 박소담, 장혜진, 이정은, 박명훈 등이 출연했으며 이미 '마더'와 '괴물', '살인의 추억'으로 명망이 높았던 봉준호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지난해 5월 개최됐던 제72회 칸국제영화제에서 한국 영화 최초로 황금종려상을 받은 '기생충'은 같은 해 5월 30일 개봉한 이후 53일 만에 1000만 관객을 돌파하며 작품성을 인정받고 흥행 역사를 세웠다.


미국에서의 반응도 뜨거웠다. 지난해 10월 북미 배급사 네온(Neon)을 통해 미국에 개봉한 '기생충'은 개봉 초 3개의 상영관으로 시작했지만, 지난달 상영관 1000개를 돌파하며 북미에서 개봉했던 한국 영화 작품인 '디 워'(07, 심형래 감독)을 꺾고 12년 만에 흥행 신드롬을 일으켰다. 또 '기생충'은 '#봉하이브(hive·벌집)' 신드롬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에 힘입어 '기생충'은 제77회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했고, 미국의 4대 영화 조합상으로 손곱히는 제작자조합상(PGA),감독조합상(DGA), 배우조합상(SAG), 작가조합상(WGA) 중 배후조합상의 앙상블상, 작가조합상의 갱상을 수상했다. 또한 2일 열린 제3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제에서도 갱상과 외국어영화상 수상 기록을 더했던 바 있다.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은 비영어 영화로서 92년 아카데미 역사상 최초로 감독상을 수상했다. 또한 영어로 제작되지 않은 영화가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한 것도 아카데미 92년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뿐만 아니라 아시아 언어 영화의 아카데미 갱상 역시 '최초'다. 101년 한국영화 역사에서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수상한 것 역시 최초다. '기생충'은 한국영화 첫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에 이어 아카데미 작품상, 4관왕 수상이라는 역사를 썼다.

'기생충'이 쓴 새 역사에 외신들도 주목했다. 이미 아카데미 시상식 개최 전 외신들도 '기생충'의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 가능성을 높게 점치며 관심을 가졌던 바 있다. 외신들은 나란히 "'기생충'이 새 역사를 썼다"며 기립박수를 쳤다.

AP통신은 "'기생충'이 아카데미 시상식 92년 역사상 처음으로 비영어권 작품으로 작품상을 수상했다"며 '기생충'의 수상에 대해 "'세계의 승리"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어 AP는 "'기생충'의 수상은 오랜 세월 외국 영화를 낮게 평가해오는 데 만족해온 미국 영화상에 분수령이 됐다"고 덧붙이며 '기생충'의 수상이 3년 전 유력 수상작이던 '라라랜드'를 제치고 '문라이트'가 작품상을 깜짝 수상했던 것을 떠올리게 만든다고 보도했다. 이 같은 결과는 바로 그간 아카데미 시상식 후보에 다양성이 부족하고 여성 영화 제작자들이 후보에도 오르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중에 나왔다고 설명했다. '기생충'의 승리에 대해 AP는 또 "할리우드의 전격적인 변화와 지금까지와는 다른 종류의 전진을 가능하게 만들었다"고 평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기생충'의 수상은 AMPAS를 비난해온 이들이 요구해온 '좀 더 포용력 있는 오스카'를 약속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평햇으며 봉준호 감독이 이날 수상소감에서 오스카가 과거 '최우수외국어영화상'이라 불렸던 시상 분야를 '국제영화상'으로 새롭게 명명한 것을 언급, "이러한 새로운 변화가 상징하는 방향을 지지하고 박수를 보낸다"는 소감을 밝힌 점을 재차 짚었다.

'기생충'의 수상을 유리하게 점쳤던 CNN은 "'기생충'이 오늘 밤 새 역사를 만들었다"며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받은 비영어권 영화"라고 밝혔다. 이뿐만 아니라 "봉준호를 위한 파티를 준비하라"고 외쳤다. 또 영국 가디언지도 "봉준호의 밤이자 '기생충'의 밤"이라고 극찬했다.

쟁쟁한 후보들 속에서도 단연 빛났던 '기생충'이다. 특히 뉴욕타임스(NYT)는 "지금껏 어떤 한국영화도 오스카 할리우드 최고상에 후보로 오른 적이 없었다"며 "한국영화 '기생충'의 수상은 국제영화에 대한 AMPAS의 관심이 증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했다. 또 영화평론가 카일 뷰캐넌은 '기생충'의 작품상 수상에 대해 "아카데미가 백인 일색의 편협한 시상식이라는 오명을 벗어나게 됐다"는 평가를 내놓기도 했다. 일본 NHK도 '기생충'의 작품상 수상에 대해 "외국어 영화가 작품상을 수상하는 것은 처음"이라며 "최고의 평가를 받았다"고 전했다.


AP=연합뉴스
아시아권 국가 영화의 첫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 낭보에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권 네티즌들의 반응 역시 뜨겁다. 일본에서도 아카데미 수상 소식에 촉각을 기울였고, 야후 재팬에서는 실시간 검색어 1위에 '기생충'이 랭크되기도 했다. 또 2위는 감독상, 4위는 갱상이 차지할 정도로 높은 관심이 드러났다. 일본 네티즌들 역시 "완벽했던 영화라 납득이 된다"는 반응을 보냈고, 중국 웨이보의 많은 이용자들은 "정말 대단했다"고 입을 모아 칭찬했다. 일부 네티즌은 "중국 영화를 보면 한숨만 나온다"며 "중국산 영화는 애국주의면 다 되고, 돈만 벌면 다 된다"거나 "중국산 영화도 인기 스타와 저급한 대본에서 벗어나 창조력에 집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중국의 폐쇄성을 지적하며 "광전총국이 없어져야 대중문화가 발달한다"며 "'기생충'은 한국의 사회현실을 풍자한 작품인데 우리나라에는 영화나 드라마의 소재 제한이 많다"고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한편, 아카데미는 1929년부터 아카데미 회원들이 뽑는 상으로 미국 영화제작에 직접 관여하는 사람들만이 투표권을 가진, 영화인에 의한, 영화인을 위한 미국 내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시상식이다. 올해 아카데미에는 한국 영화 최초 '기생충'이 작품상(곽신애·봉준호), 감독상(봉준호), 갱상(봉준호·한진원), 편집상(양진모), 미술상(이하준·조원우), 국제영화상(옛 외국어영화상) 등 6개 부문 후보에 올라 화제를 모았던 바 있으며, 이 중 4개 부문을 수상하며 이날을 완전히 '기생충의 밤'으로 만들었다.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