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vN '호텔 델루나'가 회를 거듭할 수록 상승세를 타는 분위기다.
떠돌이 귀신들에게만 그 화려한 실체를 드러내는 밤의 델루나는 섬세한 CG 작업을 통해 탄생했다. 하지만 붉은 벽돌과 르네상스 양식이 돋보이는 낮의 델루나는 실제 존재하는 건물이다.
제작진은 "낮의 델루나의 외관은 목포 근대 역사관 본관에서 촬영했다"며 "오랜 시간 현실 세상에 존재해왔던 델루나를 담기 위해 근대식 건물을 찾고 있었고, 목포 근대 역사관은 1900년도에 완공된 건물임에도 예쁘게 보존이 잘 되어 있었다"고 전했다.
호랑이 영혼의 비밀?
호텔 델루나는 아쉬움이 가득한 채로 죽음을 맞이한 이들을 달래는 령빈(靈賓) 전용 호텔이다.지난 2회에 등장한 호랑이 영혼은 사람들로 인해 원치 않게 북에서 남으로 오게 된 호랑이가 무리랑 어울리지도 않고, 짝도 짓지 않고 혼자 외톨이로 죽어서 된 영혼이었다.
소중한 건 돌아갈 수 없는 북에 있었기에 죽어서도 한을 품고 떠돌아다닌 것. 이 에피소드는 지난 1999년 남북관계 정상화를 기원하며 북한에서 서울대공원에 기증한 한반도에서 포획된 마지막 호랑이 '낭림'이가 모티브였다.
#3. 월령수는 CG가 아니었다?
천년이 넘도록 장만월(이지은)의 영혼이 묶여있는 월령수는 호텔 델루나에서 가장 중요한 장소중 하나다.
신비로운 기운을 뿜어내는 이 나무는 비현실적 이미지 때문에 많은 시청자들이 'CG'로 알고 있지만, 사실 엄청난 노동이 집약된 작품이다.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신비한 나무'라는 콘셉트로 디자인됐고, 시멘트로 조형 작업을 거쳐 만들어진 몸통에 죽은 나무의 껍데기와 가지를 모아 일일이 수작업으로 붙여 완성됐다. 신비한 월령수, CG 아니라고?
'호텔 델루나'의 최기호 미술감독은 "미술팀 5명이 오랜 시간 매달렸다"며, "인조 나뭇잎, 이끼, 꽃까지 한 땀, 한 땀 공들여 붙였다"고 밝혔다. 이후창 작가의 예술적인 유리공예 작품은 월령수가 있는 공간의 신비로움을 더하는 조형물이다.
여기에 스모그를 깔고 조명으로 색을 입히니 배우들도 마치 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공간을 마주한 느낌의 연기가 절로 나오고 있다. "숨겨진 공간을 창조하기 위해 공을 많이 들였다"는 제작진의 노력은 만월과 찬성(여진구)의 기이한 인연과 호로맨스를 더욱 부각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고재완 기자 star77@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