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고재완 기자]무장독립투쟁단체 의열단의 김원봉 단장을 직접 그린 드라마가 안방을 찾는다.
이에 대해 연출을 맡은 윤상호 PD는 2일 서울 MBC에서 열린 MBC 드라마 '이몽' 제작발표회에 참석해 이유를 밝혔다. 그는 "자유한국당에서 약산 김원봉의 미화방송 철회를 요구했다. 일부 네티즌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리는 문제다"라는 질문에 "실존인물을 드라마의 주인공으로 내세운 작품을 기획하고 선보이기까지 방송국도 제작진도 많은 고민을 거듭해 내린 결정이다"라고 운을 뗐다.
이어 윤 PD는 "2년 전 기획부터 출발됐고 우리나라 역사에 가장 서글펐던 일제강점기, 논란의 여지가 있을수 있지만 김원봉이라는 인물이 독립운동사에 큰 획이고 의미가 깊었다고 생각한다"며 "논란의 여지를 넘어서 '김원봉이란 분도 있었구나'라는 사실은 꼭 알고 넘어가야한다고 본다"고 자신의 생각을 전했다.
|
이어 "더불어 시대적 배경이 1930년대라 이념 갈등 시대와 다르다. 독립투쟁에 대한 이야기라 논란이 될 이유가 없다. 독립투사들을 다룬 이야기는 개인적으로 하고 싶었고 나름의 신념이 있었다"며 "위안부 할머니를 실제로 만나본 적이 있다. 그 할머니가 배에 큰 칼자국을 보여주더라. 일본군이 배에 찌른 상처라고 했다. 그러면서 '나라가 없으면 개돼지 만도 못하게 살아야 한다. 그래서 우리 같은 사람을 기억해야한다'고 하시더라"고 말했다.
유지태는 "우리 드라마가 독립이라는 말을 하는 이유다. 대한민국이 얼마나 소중한지 기리는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 대한민국 한사람이라는게 소중한 건지 모르고 살았다. 이 드라마를 찍으면서 한 신은 꼽기 어려울정도로 매 순간이 가슴을 울렸고 나도모르게 눈물이 났다"며 3·1운동 기념식에서 애국가를 부르는데 그렇게 눈물이 나더라. 항일투쟁 목숨을 바쳐 이나라를 지킨 선조들의 피와 땀은 다시 기려졌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
일본인 검사 후쿠다 역을 연기한 임주환 역시 작품에 대해 "배우라면 누구나 욕심나는 내용아닐까. 부담감이 없었다. 나는 일본인 역할이었지만 의미있는 내용의 작품에 참여한다는 자체가 영광이었다"고 했고 미키 역을 맡은 남규리 역시 "이런 작품을 만날수 있다는 것 자체가 의미있다. 종방연 때 작가님이 '어린 친구들이 선조들의 노력과 피를 알아줬으면 했다'는 작가의 말이 떠오른다. 우리 작품에는 그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이 디테일하게 그려져있다"고 했다.
때문에 '이몽'은 전파를 타면 김원봉에 대한 논란이 사그라들 수도 있고 더 불붙을 수도 있다. 이 드라마가 끝난 시점에서 김원봉은 어떤 평가를 받게 될까.
star77@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