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이승미 기자]인간이 겪을 수 있는 가장 큰 슬픔이라는 '아이를 잃은 상실감'. 배우 김여진이 '살아남은 아이'를 통해 이 같은 슬픔을 눈빛으로, 표정으로, 몸짓으로 표현했다. 그런 가운데서도 김여진은 누군가의 마음에 슬픔 보다 더 큰 상처와 고통으로 남을 이야기에 대해 사려깊은 태도로 보여주며 '살아남은 아이'를 절대 잊을 수 없는 작품으로 만들었다.
아들이 죽고 대신 살아남은 아이와 만나 점점 가까워지며 상실감을 견디던 부부가 어느 날, 아들의 죽음에 관한 비밀을 알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 '살아남은 아이'(신동석 감독, 아토ATO 제작). 극중 아들을 잃은 후 실의에 빠진 엄마 미숙 역의 김여진이 27일 서울 동작구 사당동 아트나인에서 가진 라운드 인터뷰에서 개봉을 앞둔 소감과 영화 속 비하인드 에피소드를 전했다.
|
인터뷰에 앞서 지난 주 진행된 언론시사회에서 "'살아남은 아이'라는 영화 타이틀이 너무 슬퍼서 출연 제의를 거절하려 했다"는 김여진. 하지만 그는 시나리오를 읽어보고 생각을 바꿔 곧바로 출연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그는 '살아남은 아이' 시나리오의 첫 느낌에 대해 "아이를 잃은 부모, 엄청난 슬픔에서부터 이야기가 시작하는 영화인데, 한 신 한 신들이 정말 사실적이었다"고 입을 열었다.
이어 "미숙이 죽은 아들이 동생을 가지고 싶어했던 일 때문에 동생을 가지려고 하려는 식의 모습들이 굉장히 사실적이었다. 하루하루 울고 불고 하지 않고 하루는 더 힘들었다가 덜 힘들었다가 어느날은 웃었다가 어느날은 폭발했다가 하는 모습이 굉장히 사실적으로 다가왔다. 슬픔을 그렇게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영화는 이제껏 없었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또한 김여진은 '살아남은 아이'는 가슴 아픈 이야기를 다루고 있음에도 슬픔과 눈물을 강요하는 작품이 아이기에 더욱 마음에 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슬픈 이야기임이 분명한데도 '우세요! 우세요!' 강요하는 시나리오가 아니었다. 감정을 세심하게 표현하는 굉장히 잘 쓰여진 시나리오라고 생각했다. 시나리오라는 게 읽는 순간 촉이 온다. 인물의 동작 생각이 생생하게 그려질 때가 있는데 그럴 때는 그 시나리오를 놓치면 안된다. 그리고 감독님이 미숙 역에 왜 나를 떠올려주신지 알겠더라. 내가 연기하는 모습이 상상이 됐다"며 "그래서 이건 내 역할이구나 싶었다. 그리고 시나리오를 덮었을 때 간절한 마음이 들었다. 이 인물들이 잘 지냈으면 좋겠다. 기도하는 마음이 들더라"고 말했다.
|
이어 "하지만 각오를 단단히 한 것에 비해 감독님이 콘티가 정확히 있었고 스태프들도 정말 노련해서 크게 힘들지 않았다. 이 정도 예산으로 이 정도 스태프가 모인게 신기할 정도로 좋은 스태프가 많았다. 물론 울지 않는 신에서 눈물이 계속 나올 때가 있었다. 어떤 장면에서는 슬픔이 북받쳐 오르는 느낌 때문에 촬영을 스탑하고 진정하고 다시 가야 할 때도 있었다"며 "나 또한 아이를 가진 엄마이기 때문에 그 슬픔은 1초만 상상해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오히려 너무 과도하게 몰입하지 않으려고 했다. 그래서 오히려 슛들어가기전에는 기분을 풀기 위해 (최)무성 오빠와 이야기도 많이 하고 놀았다"며 웃어보였다.
이날 김여진은 미숙을 연기하면서 달라진 생각이 있다고 입을 열었다. "이 영화를 통해 미숙을 경험하지 못했다면 어떤 슬픔을 가진 사람들에 대해 생각하고 쉽게 말할 수도 있었을 것 같다"는 김여진은 "아무리 큰 슬픔을 겪은 사람이 있어도 우리는 정말 그 사람이 겪은 감정상태나 슬픔을 깊숙이 들여다 보지 못한다. 그럴 바에는 어떤 이야기를 하려고 하는 것 보다 그냥 입을 닫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내가 모르는, 짐작하기 힘든 슬픔이라면 그 슬픔에 대해 쉽사리 입을 떼지 않고 가만히 옆에 있어주는 게 최선의 길이라는 생각을 했다"고 설명했다.
|
그러면서 김여진은 "유가족 다운 건 없다. 모든 슬픔의 색깔은 다 다르다. 그 슬픔을 표현하는 방식도 다 다른 거다. 예를 들 수 있다. 제가 '아이들' 이라는 영화에서 아이가 실종된 엄마의 역을 맡은 바 있다. 당시 실제 인물을 모델로 한 인물이었는데 그 엄마는 아이를 잃었음에도 슬픔이나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는 나무 껍질 같은 인물이었다. 슬퍼하지 않는다고 해서 오히려 오히려 범인으로까지 몰렸던 사람이다. 저도 그분의 목소리 음성을 들었을 때 저도 깜짝 놀랐다. 아이를 잃은 사람 같은 느낌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게 생각했다는 것 자체가 나 또한 '아이 잃은 엄마는 어떤 모습이어야 한다'고 대상화 시킨거다"고 말했다.
"실제로 우리 주변에는 어떤 슬픔을 겪은 사람을 특정한 모습으로 대상화 하려는 사람이 많다"고 설명한 김여진은 "그런 사람들에게 '너 피해자 답지 않아!' '너 유가족 답지가 않아' 라고 손가락하는 사람이 정말 많다"며 "하지만 이 영화에서는 아이를 잃은 사람이 어떤 모습이어야 한다는 모습이 아닌 이 사람이 어떻게 살아내는냐, 이 사람은 어떻게 슬픔을 표현하느냐 식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힘줘 말했다.
|
이어 그는 "저는 어떤 장르던 재미있고 좋은 작품을 한다. 그런데 액션 영화나 오락 영화 감독님이 절 못떠오르시는 것 같다. 저도 그런 영화 하고 싶다. 코미디 꼭 하고 싶고 액션 영화를 꼭 하고 싶다"고 너스레를 떨었다.
이어 몇 년 간 영화에서 얼굴을 잘 볼 수 없었던 것 이유에 대해 묻자 그는 "사실 영화를 못하게 된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육아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나라에서는 일과 가정의 밸런스를 맞추기가 쉽지 않다"며 "하지만 저는 그동안 영화보다는 다른 중요한 일에 집중했다고 생각한다. 지난 시간에 후회하진 않는다. 하지만 언제나 연기로 사람들과 소통하고 싶다는 생각과 욕구는 늘 가슴에 품고 있다"며 앞으로 활발한 활동을 약속했다. 그러면서 그는 "인생 뭐 있나. 일과 사랑 아닌가. 일과 사랑을 어떻게 저글링을 잘하는가 고민하다보면 테크닉이 생긴다고 생각한다"고 웃었다.
|
한편, '살아남은 아이'는 세계 3대 영화제 중 하나인 베를린국제영화제에 초청됐을 뿐 아니라 각종 국제 영화제에서 초청·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 받은 작품. 신예 연출자 신동석 감독이 메가폰을 잡고 최무성, 김여진, 성유빈이 출연한다. 8월 30일 개봉.
smlee0326@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