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SC초점] 최강체 '군함도'·최약체 '청년경찰'의 기막힌 반전

조지영 기자

기사입력 2017-08-10 11:10



[스포츠조선 조지영 기자]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반전 드라마다. 올여름 최강체였던 액션 영화 '군함도'(류승완 감독, 외유내강 제작)와 최약체였던 청춘 수사 영화 '청년경찰'(김주환 감독, 무비락 제작)이 개봉 전과 개봉 후 전혀 다른 모양새의 성적표를 받게 된 것.

CJ엔터테인먼트, 롯데엔터테인먼트, 쇼박스, NEW 등 국내 메이저 투자·배급사의 기대작이 쏟아지는 여름 극장가. 올여름엔 2강(强)으로 떠오른 CJ엔터테인먼트의 '군함도'와 쇼박스의 '택시운전사(장훈 감독, 더 램프 제작), 1중(中)의 워너브러더스 코리아 배급 '브이아이피'(박훈정 감독, 영화사 금월 제작), 2약(弱) 체제의 롯데엔터테인먼트 '청년경찰'과 NEW의 '장산범'(허정 감독, 무비락 제작) 구도가 펼쳐졌다. 하지만 막상 뚜껑을 연 여름 극장가는 초반 예상과 달리 반전의 결과가 펼쳐지고 있는 상황.

일단 최강체로 떠오른 '군함도'의 실패가 충격의 반전, 첫 번째 주인공이다. 전작 '베테랑'(15)을 통해 1341만명의 관객을 끌어모은 류승완 감독의 신작으로 초반 기대를 끌어모았던 '군함도'는 뜻하지 않았던 논란에 휩싸이며 공분을 쌓더니 결국 개봉 첫 주 만에 관객의 외면을 받게 됐다.

개봉 전 일본의 대표적인 극우 성향 언론 산케이신문의 견제 보도를 시작으로 물꼬를 튼 '군함도'의 논란은 이후 보조 출연자 처우 논란, 송중기·송혜교의 깜짝 결혼 발표로 이어지며 영화 자체의 논쟁보다 영화 외적인 이슈로 점차 물들었다. 문제는 여기서 끝이 아니었다. '군함도'의 논란은 개봉 후 더욱 뜨겁게 타오른 것. 개봉 첫날이었던 지난달 26일, 2000여개의 스크린을 확보한 '군함도'는 역대 최악의 스크린 독과점이라는 오명을 낳았다. 여기에 역사 왜곡 등 각종 사건·사고가 더해지며 뜨거운 감자로 등극, 끊임없이 입방아에 올랐다. 결국 '군함도'는 개봉 2주차부터 관객수가 대폭 하락, 700만명을 돌파하지 못하며 제동이 걸렸다.

'군함도'와 다른 분위기(?)의 충격 반전도 스크린에 펼쳐졌다. 바로 최약체였던 '청년경찰'의 선전. 사실상 '청년경찰'은 여름 라인업 발표 초반 배우의 티켓파워, 제작비 규모 등을 따졌을 때 '군함도' '택시운전사' 보다 약세로 점쳐졌다. 박서준, 강하늘 모두 '대세'로 떠오른 청춘스타들이지만 '천만배우' 황정민, 송강호에 비하면 티켓파워면에서 약한 게 사실이고 제작비 역시 총제작비 220억원, 150억원을 자랑한 두 작품에 비해 '청년경찰'은 70억원의 낮은 버젯으로 제작됐기 때문. 규모 면에서 여러모로 최약체로 꼽힌 작품이었다.

그러나 시사회 이후 상황은 역전, 올해 최고의 기대작으로 떠오른 '청년경찰'은 개봉 첫날 30만명을 동원하며 '군함도'를 꺾고 박스오피스 2위에 올라서는 저력을 과시했다. 언론과 평단으로부터 호평을 받으며 심상치 않은 조짐을 보이더니 결국 이러한 반응이 일반 관객에게 영향을 미치며 흥행 청신호를 켤 수 있게 됐다. 앞서 개봉한 '군함도'가 상당히 무거운 소재였던 반면 '청년경찰'은 유쾌한 코미디로 반전 재미를 선사하는 중. 본격적으로 입소문을 얻은 '청년경찰'은 이번 주 쾌속 질주로 '택시운전사'와 함께 쌍끌이 흥행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soulhn1220@sportschosun.com 사진=영화 '군함도' '청년경찰' 포스터

마감직전토토, 실시간 정보 무료!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