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양한 장르 개발 도전이 필수다."
한국 게임산업은 '미르의 전설2', '크로스파이어', '던전앤파이터' 등 지금도 여전히 사랑을 받고 있는 온라인게임의 존재감 덕에 '차이나드림'을 이루며 급성장 했지만, 이후 웹게임과 모바일게임 장르에선 중국의 아성에 완전히 밀린 상태다. 여기에 사드 배치 문제로 인한 중국의 비공식 비관세 장벽에 막혀 올해 초부터 '판호'(서비스 라이선스)를 받지 못해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헤쳐나가기 위한 여러 방도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아시아 최대를 넘어 세계 최대 게임쇼로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 게임쇼 '차이나조이 2017' 현장을 찾은 중국과 한국의 게임사 대표가 '다양성'이라는 키워드를 들고 나온 것은 결코 우연의 일치가 아니었다.
카카오게임즈 남궁훈 대표 역시 같은 생각이었다. 남궁 대표는 "만화와 애니메이션, 웹툰 등 마니아층이 형성되고 있는 콘텐츠를 중국에선 '2차원'이라고 하고 있다. 일종의 '서브컬쳐'라고 할 수 있는데, 해를 거듭하면서 중국 내에서 인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기존 IP들이 경쟁 격화로 인해 포화 상태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장르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카카오페이지에서 연재되는 국내 웹툰이 텐센트를 통해 중국에 서서히 알려지고 있다. 저변이 더욱 확대된다면 이를 활용한 게임들도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차이나조이 2017 현장에서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다. 여전히 MMORPG류의 신작들이 많이 선보였지만 이런 가운데서도 다양한 장르 게임들이 눈길을 끌었다. 한국 게임사 블루홀이 올해 초 스팀을 통해 얼리 억세스로 출시한 이후 400만장 이상의 판매와 1억달러 매출고를 올리며 선전하고 있는 '플레이어언노운스 배틀그라운드'가 판다TV 부스를 통해 e스포츠로 중계되며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는데, 이 역시 마니아한 장르인 배틀로얄 게임이다. 중국의 인기 웹툰 포털인 빌리빌리 역시 B2C에 부스를 차리고 관람객을 맞은 것도 중국에서 웹툰이 새로운 게임 IP로 떠오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쇼 켄 대표는 한국 게임이 판호를 받고 있지 못하는데 대해 "예전보다 판호 심사기간이 훨씬 길어진 것 같다"면서도 정부의 정책에 대해 얘기하기가 조심스럽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러면서도 "어차피 중국과 한국의 게임산업은 비슷한 성향을 가지고 있기에 서로 영향을 주면서 발전해왔다. 예전에는 단순한 무역 관계였다면, 이제는 좀 더 심도깊은 협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좀 더 길게 바라보면 잘 해결될 것 같다"고 말했다.
상하이(중국)=남정석 기자 bluesk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