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박영웅 기자] 타이거JK(본명 서정권)는 한국 힙합씬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다. 국내 힙합뮤직의 역사 20년에서 드렁큰타이거의 지분이 18년인 것만 봐도 그렇다. 단순히 두 자릿자 숫자가 갖는 묵직한 의미를 차치하더라도 그의 8장 음반은 힙합씬을 호령한 결과물이자, 장르음악의 대중화를 알린 신호탄과도 같았다. 1999년 세기말에 등장한 드렁큰타이거의 첫 인상은 그야말로 술취한 호랑이였다. 그가 다시 '호랑이가 랩하던 시절'로 돌아간다.
드렁큰타이거의 지난 8장의 앨범은 그의 삶에 대한 녹록치 않은 기록이다. 척수염을 앓고 소속사와의 분쟁 등 순탄치 않은 고통의 기간을 보내면서도 타이거JK는 직진했다. 그리고 꾸준히 자신의 길을 가고 있다. 힙합이 대중의 음악이 된 지금도, 여전히 그의 터전은 의정부 집이다. 이 곳에 녹음실을 꾸리고 음악의 가치만을 쫓는다. 음악인생 2막을 활짝 열 준비도 마쳤다. 아내 윤미래와 동료 래퍼 비지와 함께 꾸린 그룹 MFBTY 활동은 물론, 래퍼 도끼와 지난해 후배 양성을 위해 설립한 레이블 굿라이프크루까지, 프로듀서로서의 활동도 이어갈 계획이다.
강산도 변했고 힙합씬도 변했다. 국내 힙합의 초창기 시절, 에픽하이 다이나믹듀오 리쌍 등 지금은 날고 긴다는 래퍼들이 한데 모인 무브먼트 크루의 정상에 서서 씬을 아울렀던 힙합씬 큰 형님이다. 힙합이란 단어는 이미 흔한 것이 됐다. 가치와 영혼이 증발된 래퍼들이 저마다 스웨그 타령만을 할 때 다시 드렁큰타이거가 온다.
술 취한 호랑이가 다시 신들린 음주 래핑을 시작한다.
|
투어를 해야겠단 생각은 있다. 물론 행복의 기준 차이겠지만 그동안은 워낙 내 철학이 뚜렷해서 큰 관심은 없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뮤직페스티벌 등 활발하게 해볼 생각이다. 세상이 아무리 바뀌어도 우린 우리 음악을 하고 싶어서 시작한 것이니 그것을 이루고자 한다. 윤미래의 해외 활동도 적극 지원하고 싶다.
- 후배들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도끼와 레이블을 설립했다.
도끼와는 철학 자체가 정반대라 오히려 재미있다. 도끼는 떳떳하게 성공하고 부와 성공을 누리자는 주의인 반면에, 난 내가 입은 옷이 멋이고 그게 힙합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나이기 때문에 빛나는 게 힙합이다. 하지만 누구의 생각이 잘못이라는 건 아니고 각자의 타당한 가치관이 있는 만큼, 그 차이점이 오히려 함께 일하는데 즐겁다.
- 올해부터는 레이블 활동도 활발하게 하는 것인가.
마치 시스템이 물만 뿌려주면 저절로 크는 식이다. 여러 다양한 스타일을 시도해서 우리가 씬을 정복하자는 의미가 아니라 마음 맞는 사람들끼리 번져가는 스타일대로 하고 싶다. 슈퍼비, 면도, 주노플로와 함께 보컬리스트 앤, 그리고 악기 연주자들이 모여 새로운 시도를 해보는게 목표다. 차트 성적과 상관없이 새로운 걸 해서 궁극적으로는 역사에 남을 흔적을 새기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어린 후배들의 음악에서 이질감을 느끼진 않는가.
여러 친구들이 도끼를 멘토로 삼는다. 그만큼 음악만큼이나 패션 등 트렌드, 가치관이 많은 영향을 끼친다. 요즘 래퍼들은 가사를 다루는 스킬은 물론이고 습득력도 빠르다. 서로 시대 문화적으로 지켜보면서 공유하고 있다. 그 자체로 신기하다. 콘서트에 가보면 연령대도 다양하고 후렴 뿐 아니라 전체 랩을 따라하는 걸 보고 신기했다.
- 목표는
우선 드렁큰타이거의 마지막 앨범 작업에 올인할 계획이다. 힙합 레게 하위장르인 댄스홀이 트로피칼하우스란 핫한 장르로 다시 주목받듯이, 여러 장르를 시도했던 내 예전 음악들도 꽤 시대를 앞서갔다고 생각한다.(웃음) 그리고 내 자신이 이젠 그때 그 음악을 편하게 들려줄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또 레이블 후배들과 함께 해외 아티스트와도 교류하고 실컷 재미있는 음악 하는 게 목표다.
hero16@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