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박영웅의 BLACK②] 타이거JK "힙합은 디스·돈타령이 전부가 아닙니다"

박영웅 기자

기사입력 2017-01-26 11:09



[스포츠조선 박영웅 기자] 타이거JK(본명 서정권)는 한국 힙합씬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다. 국내 힙합뮤직의 역사 20년에서 드렁큰타이거의 지분이 18년인 것만 봐도 그렇다. 단순히 두 자릿자 숫자가 갖는 묵직한 의미를 차치하더라도 그의 8장 음반은 힙합씬을 호령한 결과물이자, 장르음악의 대중화를 알린 신호탄과도 같았다. 1999년 세기말에 등장한 드렁큰타이거의 첫 인상은 그야말로 술취한 호랑이였다. 그가 다시 '호랑이가 랩하던 시절'로 돌아간다.

타이거JK는 현재 작업 중인 드렁큰타이거의 정규 9집을 마지막으로 이 팀명을 더 이상 쓰지 않는다. 타이거JK와 DJ샤인 체제로 출발한 드렁큰타이거가 데뷔 17년만에 마지막 앨범을 발표하는 셈이다. 이 같은 소식에 은퇴설마저 불거졌던 타이거JK는 "요즘 힙합씬의 패러다임과 더불어 내 음악의 정체성에 따른 선택"이라며 생각을 전했다. 급변하는 씬의 분위기와는 별개인, 차트 순위와도 무관한 자신만의 음악을 들려줄 최적의 시간을 기다려왔단 얘기다.

힙합이란 단어가 그리 생소한 시절도 아니었지만, 당시 드렁큰타이거의 등장은 어딘가 신선하다 못해 낯설었다. 아이돌 그룹을 통해 블랙뮤직에 대한 시도가 이뤄지긴 했으나, 정통 힙합을 표방한 그의 음악은 대중에 설익은 노래였다. '낯이 익지도 않앗지만 같이 마치 달콤한 연인 같이 하나되는 우릴 봤지. 너를 원해 이말 전해'('난 널 원해'中) 단어의 운율을 맞춘 라임의 재미와 현란하게 오르내리는 현란한 플로우는 대중엔 분명 신선한 경험이었다. 마니아들 사이에서만 유행하던 음악을 수면 위로 올린 그의 존재는 오버그라운드와 인디씬의 교두보 역할이기도 했다.

드렁큰타이거의 지난 8장의 앨범은 그의 삶에 대한 녹록치 않은 기록이다. 척수염을 앓고 소속사와의 분쟁 등 순탄치 않은 고통의 기간을 보내면서도 타이거JK는 직진했다. 그리고 꾸준히 자신의 길을 가고 있다. 힙합이 대중의 음악이 된 지금도, 여전히 그의 터전은 의정부 집이다. 이 곳에 녹음실을 꾸리고 음악의 가치만을 쫓는다. 음악인생 2막을 활짝 열 준비도 마쳤다. 아내 윤미래와 동료 래퍼 비지와 함께 꾸린 그룹 MFBTY 활동은 물론, 래퍼 도끼와 지난해 후배 양성을 위해 설립한 레이블 굿라이프크루까지, 프로듀서로서의 활동도 이어갈 계획이다.

강산도 변했고 힙합씬도 변했다. 국내 힙합의 초창기 시절, 에픽하이 다이나믹듀오 리쌍 등 지금은 날고 긴다는 래퍼들이 한데 모인 무브먼트 크루의 정상에 서서 씬을 아울렀던 힙합씬 큰 형님이다. 힙합이란 단어는 이미 흔한 것이 됐다. 가치와 영혼이 증발된 래퍼들이 저마다 스웨그 타령만을 할 때 다시 드렁큰타이거가 온다.

타이거JK는 그간 '너희가 힙합을 아느냐', '난 널 원해', '위대한 탄생', '하나하면 너와 나' 등 드렁큰타이거의 히트곡을 발표하며 국내 힙합씬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5집 활동 이후 DJ샤인이 탈퇴한 뒤 타이거 JK 홀로 활동했으며 '소외된 모두, 왼발을 한 보 앞으로!', '심의에 안 걸리는 사랑노래' '몬스터(Monster)'를 연달아 히트시켰다.

술 취한 호랑이가 다시 신들린 음주 래핑을 시작한다.


- 요즘 힙합씬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물론 힙합의 장르 안에서도 시도가 다양해지고 대중에 친숙한 음악이 된 건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하나가 뜨면 우르르 몰려가서 똑같은 걸 하는 건 안타깝다. 힙합하면 남을 헐뜯는 디스, 돈 자랑을 떠올리는 것 말이다. 그 외의 가치있는 것들이 또 다른 것들에 묻히면 안된다. 지금은 크게 성공한 도끼도 어렸을 때부터 음악을 시작해서 그렇지, 엄청 오랜 기간 고생했다. 어린 나이게 성공해서 오해의 시선도 있는 것 같은데, 무엇보다 진정성이 중요하다. 겉으로만 보이는 것에 열광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 요즘 힙합음악과 예전을 비교한다면.

예전엔 무브먼트 크루, YG패밀리 등 힙합 안에서도 각자의 개성이 뚜렷했다. 마니아 팬들의 토론도 건설적이었고 성장하는 문화 자체를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재미있었다. 한 단어인데도 5개의 중의적인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숨은 뜻을 일부러 배치하기도 했다. 그렇게 서로 음악을 해석하고 신호를 분석하는 게 즐거웠는데 그런 점들이 사라져가는 것은 좀 아쉽다. 하지만 유튜브 등 정보가 워낙 빠르고 시대도 바뀌었으니 변하는 건 당연하다.

- 처음 음악을 시작하던 때, 드렁큰타이거의 초창기 시절도 많이 떠오를 것 같다.

그땐 전곡 금지 판정은 당연했고, 노래에 랩만 있으니까 CD가 잘못 구워진 것 아니냐고 말할 정도였다. 업계 관계자들은 '너희들은 절대 성공못한다'고 늘 말했던 시기였다.(웃음) 모두가 안된다고 하니까 더 오기가 생겼던 흥미로웠던 시간들, 당시에는 창작 자체에만 몰두했다. 그러다 6집 부터는 제대로 곡을 만드는 것 같다고 스스로 느꼈는데, 뭔가 찾고 퍼뜨리고 하는 것에 희열을 느끼기도 했다. 어쩌면 9집은 내게 3집에 해당하는 건지도 모르겠다

- 레이블을 설립해 슈퍼비와 면도, 주노플로 등 후배 래퍼들을 식구로 들였다.

그들과 대화하면서 내가 배우는 게 많다. 자신의 철학이 뚜렷하고 어느 하나에 몰두하고 반응하는 게 신기해 보였다. 모두가 랩 괴물이고 확실히 스킬적으로 잘한다. 공연장에서 확실히 이 친구들의 진가가 나온다고 생각한다. 다들 큰 회사에서도 제안을 받았는데, 자기가 하고 싶은 음악을 하겠단 의지만으로 함께 하게 됐다. 고맙다.

- 엠넷 '고등래퍼' 출연 등 방송 출연한다는 소식도 많다.

긴 잠에서 좀 깬 기분이다. 이제는 방송도 하고 싶은 시간이 됐다. 마음의 준비가 된 느낌 말이다. 여러 일들이 있었지만 내 주위의 선후배들을 보면서 결국 내 자리를 찾은 것 같다. 아무 생각안해도 되는 예전의 내가 된 것 같다. 결혼하고 아빠가 되면서 중요한게 중요하지 않게 되고 모든 시각과 철학도 바뀌기 시작했다.

hero16@sportschosun.com

'핵꿀잼' 펀펌+'핵미녀' 디바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