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조윤선 기자] 이번주 SBS '그것이 알고싶다'에서는 우리가 잊고 있던, 그리고 촛불에 가려져있던 이야기들을 돌아보고 2016년 광장을 가득 메운 촛불의 의미를 함께 고민해본다.
"(애들) 옷을 보고 안 거지. 얼굴 형태 봐가지고는 몰라요. 완전히 으스러져 버려서." - 故 심미선 이모부
그 이후 훈련 규정을 지키지 않은 미군에 대한 지탄이 쏟아졌지만 그해 11월 20일, 장갑차를 운전했던 운전병과 관제병이 차례로 무죄를 선고받았다.
사람을 처참하게 죽여 놓고도 처벌을 받지 않는 상황에 분노한 시민들은 미군 2명의 처벌을 요구하는 시위를 시작했고, 그 분노는 온 국민들에게까지 전해졌다. 그리고 언젠가부터 광장에선 촛불이 타오르기 시작했다.
'촛불'에 가려진 이야기
사람들의 분노가 모여 커다란 촛불이 되기까지는 수많은 사람들의 땀과 노력이 필요했다. 그 중에서도 지역의 소규모 시위를 전국적인 촛불집회로 전환시키는 데에 가장 큰 역할을 했던 한 남성이 어느 날, 철로 위에서 싸늘한 시신으로 발견됐다. 그날은 미군 무죄평결 1주년 기념 촛불집회가 있었던 날이었다.
"그날을 계기로 다시 촛불을 키워보자고 하던 시기였죠. 그 친구가 주도했었고요." - 당시 여중생 범국민대책위원회 관계자
경찰은 그 남성이 철로 위에 누워 있다가 열차에 부딪혀 사망한 것으로 수사를 마무리했지만 미선이, 효순이의 억울한 죽음에 대한 진상을 밝히기 위해 앞장서서 촛불을 들었다가 예고 없이 세상을 떠난 그의 죽음에 사람들은 의문을 던지기 시작했다.
"꼭 열차 사고만으로 볼 수 없는 것이 목뼈와 왼쪽 발목, 이 두 개의 뼈가 왜 골절이 됐을까 시신이 누워있는 상태로는 설명이 되지 않아요." - 서울대 법의학과 유성호 교수님
이상한 점은 시신의 상태만이 아니었다. 당시 그가 발견된 곳은 사람의 출입이 금지된 철로였고, 경찰들도 그가 왜 그곳까지 걸어간 것인지는 지금까지도 의문스럽다고 했다.
"그날 촛불시위 때문에 혹시 누군가가 정치적인 테러를 한 게 아닌가" - 당시 여중생 범국민대책위원회 관계자
바람 앞의 '촛불'
우리가 처음 촛불을 들기 시작했던 2002년 이후로 2004년 故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 2008년 미국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집회, 2014년 세월호 참사 추모집회 등 우리 사회에서 중요한 사안이 있을 때마다 광장에선 촛불이 켜졌다. 그리고 그때마다 어김없이 촛불을 꺼뜨리려고 하는 시도가 존재했다. 폭력과 물대포 등을 이용한 폭력 진압과 연행, 벌금 등을 통한 촛불집회 참여 저지 시도, 그리고 촛불을 음해하거나 비방하는 정치인, 지식인들의 언행까지.
"촛불은 촛불일 뿐이지 결국 바람이 불면 다 꺼지게 되어 있다." - 김진태 새누리당 의원
사람들이 촛불을 들 때마다 촛불은 바람을 맞았고, 바람에 흔들렸고, 때론 꺼지기도 했다. 하지만 2016년 촛불집회는 유례없이 많은 사람들이 나와, 폭력적인 마찰 없이 평화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한다는 점, 그리고 바람에 흔들리지 않고 오히려 더 큰 촛불을 만들어간다는 점에서 많은 이들이 놀라워하고 있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했을까? 2002년부터 촛불집회에 꾸준히 참석했던 이들은 아마도 그 전의 촛불들에 그 답이 있을 거라고 한다.
"개미는 절대 세상을 바꾸지 못해요. 근데 그 개미들이 움직이지 않으면 세상을 움직일 수 있는 사람들은 절대 움직여주지 않아요." - 촛불집회 참석자
'그것이 알고싶다'에서는 우리가 잊고 있던, 그리고 촛불에 가려져있던 이야기들을 돌아보고 2016년 광장을 가득 메운 촛불의 의미를 함께 고민해본다. 24일 토요일 밤 11시 5분 방송.
supremez@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