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SC이슈] 외계인→인어→도깨비, 판타지에 빠진 드라마 왜?

백지은 기자

기사입력 2016-12-05 16:13



[스포츠조선 백지은 기자] 왜 판타지 캐릭터일까.

초인적인 존재, 혹은 현실 세계에서 만나볼 수 없는 판타지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드라마들이 속속 등장해 인기를 끌고 있다.

신드롬의 시작은 SBS '별에서 온 그대'였다. '별에서 온 그대'는 외계인 도민준(김수현)과 톱스타 천송이(전지현)의 로맨스를 그린 작품이었다. 당시 '별에서 온 그대'는 28.1%(닐슨코리아, 전국기준)의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며 화려하게 막을 내렸다. 한국은 물론 중국에서도 그 인기는 엄청났다. 중국 동시 방송이 되지 않았음에도 20억 뷰가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며 신드롬을 불러왔고, 특히 천송이의 치맥(치킨과 맥주) 먹방에 현지에서도 '치맥 열풍'이 불기도 했다. 이 드라마를 통해 김수현의 몸값은 천정부지로 뛰었다.

바통을 이어받은 것은 MBC 'W'였다. 'W'는 인기 웹툰 주인공 강철(이종석)과 현실 세계의 초짜 의사 오연주(한효주)의 로맨스를 그린 작품이었다. 'W'는 이종석과 한효주의 멜로 연기는 물론 장르와 시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파격 전개로 화제를 모았다.

최근에도 판타지 주인공의 출격은 계속되고 있다. SBS 수목극 '푸른바다의 전설'은 인어 전지현을 내세웠다. 어우야담에 등장하는 인어 이야기에서 모티브를 얻었다는 이 작품은 익숙하지 않은 인간 세상에 적응해가는 인어의 모습을 순수하고 사랑스럽게 그려내며 20%에 육박하는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

tvN 새 금토극 '쓸쓸하고 찬란하神-도깨비(이하 도깨비)'는 가슴에 칼이 꽂힌채 불멸의 삶을 살아가는 도깨비(공유)와 기억을 잃은 저승사자(이동욱) 앞에 자신을 도깨비 신부라 주장하는, 죽었어야 할 운명의 소녀 지은탁(김고은)이 나타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다. 도깨비, 저승사자, 도깨비 신부, 도깨비를 모시는 가신 집안 등 판타지 소설에서나 나올법한 캐릭터로 극을 채운 것이다. 작품은 첫방송부터 6.7%(닐슨코리아, 유료플랫폼 기준)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이는 tvN 역대 드라마 첫 방송 최고 시청률이다. 2회차는 평균 8.1%, 최고 9.7%의 시청률로 tvN 최고 화제작이었던 '응답하라 1988'을 넘는 기록을 세웠다.


이처럼 기존 드라메에서 볼 수 없었던 판타지적 존재들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이유는 뭘까.

관계자들은 '판타지의 한계성'을 그 이유로 꼽는다. 이제까지 수많은 로코물이 재벌 2세, 혹은 만능 스펙남과 평범하다 못해 부족하다 싶은 여주인공의 사랑이야기를 그려왔다. 이렇게 뻔한 신데렐라 스토리에 시청자들도 싫증을 느끼기 시작했지만, 드라마의 메인 스트림이 되어버린 로코물을 대신할 장르를 찾는 것 또한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 대안으로 나온 것이 바로 현실에서 찾아볼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이다.


한 관계자는 "재벌 2세나 톱스타와 연애하는 신데렐라는 너무 식상한 소재다. 대신 꿈에서나 만나볼 수 있는, 전지전능한 능력자들을 등장시켜 상상에 그쳤던 것들을 드라마로 만든다. 이제까지와 다른 주인공이 등장하면서 호기심을 자극하고 드라마에 대한 상상력을 키운다. 신데렐라 스토리의 업그레이드 버전 같은 느낌"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한정적이던 장르와 캐릭터의 범위를 벗어나 다양성을 추구하게 된 결과인 것 같다. 기존의 현실적인 캐릭터에서 볼 수 없었던 부분을 시청자의 상상력을 통해 극의 임팩트를 한층 키우는 효과"라고 전했다.


또 이렇게 초현실적인 존재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웠을 때의 장점도 있다.

관계자는 "주인공 자체가 현실성이 없기 때문에 개연성이나 설득력이 조금 떨어져도 드라마를 이끌어갈 수 있다. 무한 판타지를 펼칠 수 있다는 것, 그 과정에서 현실 반영이 필요없다는 것이 이러한 판타지 드라마의 최장점이다. 또 스타 작가, 스타PD, 대형 스타의 조합이 성사되면 그만큼 상상을 표현할 수 있을 만큼의 재원과 지원이 된다. 자연적으로 제작 환경이 좋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이처럼 시국이 불안정하고 현실이 각박할 때는 항상 판타지가 통한다. 각박한 현실을 타개할 영웅을 바라지만 현실 속에서는 그런 인물을 찾아볼 수 없으니 드라마에서 대리만족을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물론 판타지 주인공을 내세울 때도 조건은 필요하다. 관계자들은 "가상 현실과 괴리감이 덜하고 익숙하면서도 현실에는 없는 캐릭터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현실성이 없는 드라마라고는 하지만 지나치게 난감한 주인공을 만들어낸다면 공감대를 형성하기가 어려워 감정이입이 힘들다는 의견이다.


그렇다면 앞으로 등장할 만한 판타지 주인공은 누가 있을까.

가장 많은 이야기가 나온 것은 도깨비나 인어와 같은 설화 속 주인공이다. 우리가 어린 시절부터 구전으로, 혹은 동화책으로 접해왔던 이야기 속 주인공이라면 굳이 부연설명을 하지 않아도 쉽게 시청자를 납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납량특집의 단골 소재였던 구미호나 전래동화에서 흔히 등장했던 선녀 이야기도 색다른 버전으로 리메이크 될 가능성이 높다.

줄거리를 비튼 타임슬립물의 등장도 기대해볼만 하다. "타임슬립물이 보통 역사에 중간 인물로 개입되는 경우가 많았다면 본인이 직접 역사 속 주인공이 되는 식의 드라마도 등장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silk781220@sportschosun.com

스포츠기자의 현장 생중계 '마감직전 토토' [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