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백지은 기자] 정말 아이유, 아니 이지은만의 문제였을까.
그런데 한가지 특이점이 있다. '달의 연인'의 흥행 참패 원인이 오롯이 여주인공 이지은을 향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지은의 설익은 연기가 초반 진입장벽을 만들어 시청층 유입을 막았다는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 과연 이 책임론은 온당한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렇지 않다.
|
여기에 역사 고증 문제까지 겹쳤다. 10황자 왕은은 서열이나 이름이 밝혀진 바 없지만 가상으로 이름을 짓고 서열도 정해버렸다. 우희(서현) 캐릭터도 마찬가지. 멸망한 후백제 공주로 고려에 대한 복수심 때문에 살아왔다는 설정은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 자신의 아버지 금강을 죽인 신검을 원망하거나, 후백제를 멸망시킨 할아버지 견원을 원망한다는 설정이 훨씬 설득력 있다. 아무리 판타지 사극이라고는 하지만 원작이 역사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생동감 때문에 인기를 끌었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달의 연인'의 역사 고증 문제는 아쉬울 수밖에 없다.
원작 각색도 아쉬운 부분이다. 촘촘하고 긴장감 넘치는 원작과 달리 개연성이 없는 전개와 과한 설정으로 맥을 끊어놨다.
얼굴에 상처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왕소(이준기)가 왕따를 당하고, 해수가 황자들의 목욕탕에 별다른 통제없이 드나들고, 황후가 온갖 모사를 직접 꾸미고, 8황자 왕욱이 이렇다할 계기도 없이 갑자기 해수에게 빠지고, 후백제 공주가 아무런 설명도 없이 궁에 들어오고, 백성들이 딱히 이유도 없이 황자 왕소에게 돌을 던지는 등 손에 꼽기도 어려울 정도의 황당한 이야기가 이어졌다. 압권은 해수가 생일축하 노래를 부르는 장면. 아무리 현대 여성의 영혼이 깃들었다고는 하지만 고려 초기에 울려퍼지는 생일 축하 노래와 현대적인 춤사위는 보는 눈을 의심하게 만들 정도로 당혹스러운 장면이었다.
이처럼 작품 자체의 문제도 만만치 않았던 만큼, '달의 연인'의 흥행 참패가 전적으로 이지은 때문이라고 얘기하는 것은 지나친 감이 있다.
|
또 이미지 쇄신이 절실하다. 사실 이지은은 '국민 여동생'으로 전적인 사랑을 받았다. 그러나 최근 불거졌던 일련의 사건들로 이미지가 실추됐고, 이에 거부감을 가진 이들이 실제 연기력을 떠나 이지은 자체에 대한 돌을 던지고 있다. 실제로 드라마가 후반부에 접어들고 맥락을 찾기 시작하면서 이지은의 연기 또한 굉장히 안정됐는데도 안티 세력의 움직임은 멈추지 않았다. 이런 분위기는 이지은 본인에게 득될 것이 없다.
결국 모든 것은 이지은 본인에게 달렸다. 지금의 뼈아픈 성장통을 딛고 진짜 배우로 거듭나길 기대해 본다.
silk781220@sportschosun.com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