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우들은 강박관념이 있다. 차기작은 '좋은' 작품을 골라야 한다는…. 헌데 그 '좋은' 작품이란 말이 참 뜬구름 잡기다. '좋은'이란 수식어가 흥행을 뜻하는건지, 수상 가능성을 뜻하는건지, 아니면 예술적 가치를 의미하는 건지 특정하기 힘들다.시청률 50%가 넘는 막장 드라마를 찍은 뒤 묘한 갈증이 있을 수도 있고, 청룡영화상을 수상했더라도 스스로 만족할 수 없는 작품도 있을 수 있지 않을까. 결국 배우 자신을 포함해 모두를 만족시키는 '좋은' 작품이란 사실상 없는지도 모른다. 그저 나에게 '좋은' 작품이란 주관적 판단이 있을 뿐….
거기에는 쉬지않고 달려 온 배경도 있을 듯했다. 이종석은 '학교 2013'에서 주연을 맡은 이후 '너의 목소리가 들려(이하 '너목들'(2013))', '닥터 이방인(2014)', '피노키오(2014)', 영화 '관상(2013)', '노브레싱(2013)','피 끓는 청춘(2014)' 등 2년에 걸쳐 무려 7작품에 걸쳐 브라운관과 스크린을 오가며 정신 없이 달렸다. 대부분 주연작임을 감안하면 이 많은 작품을 실제 소화했다는 사실이 신기할 정도다.
"'닥터 이방인'이 끝난 뒤 몸과 마음 모두 한계를 느꼈다. 잘하고 싶은 욕구가 커지더라. 나만 잘하면 아무 문제가 없다는 생각이 드니까 책임감도 부담감도 컸다."
절친한 사이로 알려진 김우빈도 빼놓지 않았다. "김우빈에게는 아주 강한 남자의 느낌이 있다. 나이가 들수록 더 멋있을 것 같은 그런 모습이 있다. 뭐라고 설명 해야할 지 모르겠지만, 김우빈과 연기하면 상대 배우를 잡아먹을 정도로 상대를 압도하는 배우라는 생각이 든다. 그게 큰 장점이다."
|
스스로도 욕심이 많다는 배우 이종석에게 '피노키오'는 자칫 독이 될 수도 있었다. '너목들'로 호흡을 맞췄던 조수원 감독과 박혜련 작가, 배우 이종석의 만남이 자칫 재탕이라는 오명을 남길 수 있었다. 뚜껑을 열기 전까지는….
"초반에 그런 우려가 있었다. 장르도 다르지만, 제작진과 배우가 같으니 비슷하게 보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전작과는 확연히 다르게 가길 바랐다. '너목들' 수하에서 곧바로 '닥터 이방인' 박훈으로 갈 때는 말투를 좀 다르게 했었는데, 감독님이 '피노키오'에서는 보다 깔끔하게 대사를 했으면 좋겠다고 했었다."
기자 역할을 위해 실제 뉴스 원고도 많이 읽었다. "리포팅이 가짜로 보이는 게 싫었다. 한 톤 올려서 발음해야 하는 부분이 쉽지 않더라. (기자 생활을) 간접적으로 경험 한 거지만, 사람을 상대하는 직업이다보니 빡센 것 같더라.하하."
극 중 함께 수습 시절을 보냈던 4인방 이야기를 꺼냈다. "넷만 모이면 NG가 났다. 너무 재미 있었다. 넷이서 단체 카톡방도 하고 있는데, 촬영이 끝나고 밥을 먹으러 가기도 하고 건대 입구에서 꽤 먼 거리를 함께 걸어다니면서 떡볶이도 먹고 그랬다. 너무 좋은 기억이었다."
|
인터뷰를 마칠 때 즈음 이종석과 '피노키오'란 작품이 준 의미를 되새겨 봤다. 주연배우로서, 책임있는 연기력을 갖춘 배우가 되기 위해 앞만 보고 달려갔던 이종석에게 필요했던 건 어쩌면 '쉼표'가 아니었을까. 그 '쉼표' 속에 부담을 나누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과의 동반 걸음이 필요했던 건 아닐까. 그가 '피노키오'를 통해 받은 선물의 의미를 잘 새겼으면 좋겠다. 그렇게 '피노키오'는 이종석에게 '좋은 작품'으로 남았다.
김겨울기자 winter@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