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규제로 신음하고 있는 한국 게임산업에 모처럼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다.
여성가족부가 실시하고 있는 강제적 셧다운제는 별다른 실효성은 없지만, 게임에 대한 부정적 공감대를 확산시키는 한편 청소년들의 게임 이용이 마치 각종 사회 문제의 원인이라는 인식을 확산시키고 있다.
김 의원은 "현재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강제적 셧다운제는 청소년이 게임에 과다하게 몰입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된 취지는 좋으나, 성인 ID 도용, 해외 서버를 통한 게임 이용 등의 방식으로 회피가 가능해 실효성이 낮은 불필요한 규제"라고 지적하고,"무엇보다 강제적 셧다운제는 청소년의 자기결정권과 자율성, 주체성을 침해하고 있다"며 셧다운제 폐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게임과몰입 문제를 예방하고 해소하기 위한 보완책으로 '게임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 게임 과몰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위해 대안을 마련했다. 이 법률안은 정부가 게임과몰입 등의 예방과 해소를 위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게임물의 올바른 이용과 게임과몰입 예방 및 해소를 위해 필요한 교육·홍보 실시에 관한 내용을 보완하도록 하며, 게임과몰입대응위원회 및 게임과몰입대응센터를 설치해 게임과몰입의 예방 및 해소에 관한 정책을 심의, 운영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 게임과몰입 해소를 위해 게임업계가 나름의 노력을 하고 있지만 여러 한계가 나오고 있다. 이를 단순한 업계의 책임이 아니라 국가가 직접 나서서 근본적인 원인을 치유해야 한다는 뜻이라 할 수 있다.
김 의원은 "청소년들의 인터넷게임 이용을 무조건 '게임 중독'으로 치부할 게 아니라, 인터넷 게임 과다몰입에 대한 다양한 문제적 상태를 인지하고, 그 예방과 해소를 위한 정책적 뒷받침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우리 아이들을 죽이는 것은 게임이 아니라 입시위주, 성적중독 위주의 불편한 교육 현실과 청소년을 위한 올바른 놀이와 여가활동의 총체적 부재"라고 밝히며 정책적 대안 마련 필요성을 역설했다.
남정석 기자 bluesk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