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정의 달 5월, 아홉 번째 '사랑'이 찾아온다.
2일 서울 여의도 CGV에서 열린 제작발표회에서 홍상운 CP는 제작진을 대표해 세월호 참사에 대한 안타까움을 전하며 사랑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홍 CP는 "만약 세월호 선장이 배에 탄 아이들이 자기 아이라고 생각했으면 어땠을까. 구조에 나갔던 해경과 정치인들이 실종자들이 자신의 가족이라고 생각했으면 조금 달라지지 않았을까. 매년 '휴먼다큐 사랑'을 제작하는 건, 가족에 대한, 그리고 우리 아이들에 대한 사랑이 커져서 우리 사회가 사랑스럽고 살 만한 곳이 되지 않을까 하는 마음 때문이다"라고 기획 의도를 설명했다.
이모현 PD도 "올해 선보이는 네 가지 이야기는 각각 내용이 다르지만, 아무리 힘들고 어려워도 사랑이 있으면 희망이 있다는 것이 전체 이야기를 관통하는 주제라 생각한다"며 "비극이나 슬픔보다는 따뜻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06년부터 '휴먼다큐 사랑'에 참여해온 유해진 PD는 "시청률보다는 시청자들이 보여주는 반향에서 보람과 행복을 느낀다"며 또 한번의 감동을 예고했다.
|
유해진 PD는 '휴먼다큐 사랑'을 촬영하며 가슴 아픈 이별을 여러 번 경험했다. 2006년 방영된 '너는 내 운명'의 주인공은 촬영 중 암으로 세상을 떠났고, 2007년 '안녕 아빠' 편에서도 임종을 눈앞에 둔 아빠와 아이들의 사연을 다뤘다. 2009년 '풀빵 엄마'에선 어린 남매를 키우며 병마와 싸우던 싱글맘의 모성애로 수많은 시청자의 눈시울을 적셨다. 방송 이후 '풀빵 엄마'의 별세 소식은 많은 시청자들의 가슴을 아프게 했다. 유해진 PD는 "사실 방송 이후 후유증을 겪었다"고 털어놓으며 감정이 북받쳐 오르는 듯 잠시 숨을 골랐다. 지난해 선천성 기도 무형성증을 앓던 해나의 작별 소식을 접한 후엔 촬영을 잠시 조연출에게 맡겼을 정도로 힘겨웠다고 했다. 그럼에도 유해진 PD는 "누군가의 아름다운 시간을 6개월 이상 같이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매력"이라며 "그런 사람들을 언제 또 만나서 함께 할 수 있을까 싶다"고 말했다. 아울러 해나의 가족은 이달 말 캐나다로 이민을 갈 예정이라는 근황도 함께 전했다.
'휴먼다큐 사랑'은 2006년 기획돼 올해로 9년째를 맞이한 MBC의 간판 브랜드 다큐멘터리다. 2006년 '아시안 TV 어워즈(Asian Television Award)', 2007년 '반프 월드 TV페스티벌(Banff World Television Festival)' 심사위원 특별상, 'ABU prize' TV다큐멘터리 대상을 수상했으며, 2010년에는 '풀빵 엄마'가 국내 최초로 '제38회 국제 에미상' 다큐멘터리 부문 상, 2012년 '엄마의 고백'이 '휴스턴 국제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
이모현 PD는 "내년에 '휴먼다큐 사랑'이 10주년을 앞두고 있다. 그동안 '사랑'은 죽음과 같이 예기치 않은 순간을 많이 만났다. 자극적인 것보다는 똑같은 '사랑'에서 새로운 포인트를 찾으려 한다. 올해 '사랑'과 함께한 어리고 귀여운 아이들에게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고 전했다.
김표향 기자 suzak@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