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키에이지, 노장의 저력을 과시하다!'
'아키에이지'는 송 대표가 6년간 400억원을 들여 야심차게 만든 대작 MMORPG이다. 전투, 사냥 등 기존 MMORPG의 기본 콘텐츠 외에 농사, 하우징, 재판, 무역 등과 같은 생활형 콘텐츠를 도입하며 자유도가 높은 플레이가 가능하다. 또 공성전을 비롯해 해상전, 마상전 등 다양한 전투 콘텐츠도 갖추고 있다. 올해 출시된 온라인게임 가운데 유일하게 동시접속자수 10만명을 돌파하는 등 흥행면에서도 당초 기대에는 못 미치지만 나름의 성과를 거뒀다.
무엇보다 모바일 환경으로 일제히 쏠리고 있는 현재 한국 게임산업에서 장인 정신으로 우직하게 '온라인게임 종주국'의 자존심을 지켜나가고 있는 것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아키에이지'는 내년 이후 북미와 유럽, 중국, 러시아 등 세계 60여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는 가운데 현지 퍼블리셔와 게이머들의 기대감이 상당해 한국산 MMORPG의 첫 글로벌 히트작이 될 수도 있다는 희망을 주고 있다.
비록 '아키에이지'가 대작 MMORPG의 대상 수상의 명맥을 이었지만 올해는 그 어느 때보다 질과 양적인 측면에서 수준높은 모바일게임이 많아 게임대상 심사위원들은 수상작 선정에 난항을 겪었다.
유저층을 남녀노소로 확장시키며 게임 대중화에 큰 기여를 했던 '몬스터 길들이기'(씨드나인게임즈)와 '윈드러너'(링크투모로우) 등 2개의 모바일게임은 '아키에이지'와 3파전을 벌인 끝에 각각 최우수상(국무총리상·700만원)과 모바일 부문 우수상(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을 수상했다.
'몬스터 길들이기'는 모바일 RPG 가운데 최초로 구글플레이와 앱스토어에서 동시에 최고매출 1위를 기록할 정도로 유저들에게 인기를 모았다. 기존 온라인의 점유물이라 여겨졌던 RPG를 모바일에서도 즐길 수 있도록 하는데 큰 기여를 하며 모바일게임 수요를 미들코어 시장으로 확장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몬스터 길들이기'와 끝까지 경합을 벌였던 '윈드러너'는 모바일 달리기 게임을 인기 장르로 정착시킴과 동시에 모바일게임 선진국인 일본에서도 높은 인기를 구가하며 1년 가까이 장수하고 있다.
기대를 모았던 '모두의마블'은 아쉽게도 지난해 PC 온라인게임의 컨버팅 버전이라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며 본상 수상에는 실패했지만 유저들이 뽑는 모바일 부문 인기게임상에 선정되며 아쉬움을 달랬다. '윈드러너'와 함께 달리기 게임 양대산맥을 형성했던 '쿠키런'은 기술창작상 가운데 게임캐릭터 부문 수상작으로 뽑혔다.
온라인 부문 우수상은 한국형 AOS게임을 만들어 외산 장르에 도전하고 있는 '킹덤언더파이어 온라인:에이지오브스톰'(드래곤플라이), 아케이드-보드 부문 우수상은 기능성게임 '젊어지는 마을'(유니아나)이 각각 차지했다.
유저들이 선정하는 인기게임상 투표도 본상 심사만큼 치열하게 전개됐다. 게임을 중독물로 규정하는 '4대 중독법' 이슈가 함께 불거지면서 지난 4일 '대한민국 게임대상'이 각종 포털사이트의 실시간 검색어 1위를 계속 차지, 한꺼번에 투표가 몰리며 게임대상 홈페이지가 원활히 작동되지 못하기도 했다. 지난해보다 2배 이상 증가한 무려 19만여명이 투표에 참여한 가운데, '모두의마블'을 비롯해 온라인 부문에선 넥슨의 'FIFA 온라인 3'이 인기게임상을 차지했다.
한편 일반상 가운데 가장 경쟁이 뜨거웠던 사회공헌우수기업상은 문화재청과 협약을 맺고 '한국 문화재 지킴이' 활동을 하고 있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개발사 및 서비스사인 라이엇게임즈코리아가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이날 시상식에는 스포츠조선 방준식 대표이사 발행인, 방성훈 대표이사,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 남경필 회장(새누리당 의원), 문화체육관광부 원용기 문화콘텐츠산업실장, 한국콘텐츠진흥원 서병대 본부장, 전자신문 김상용 대표 등을 비롯해 네오위즈인터넷 최관호 대표, 넥슨 서 민 대표, 위메이드 조계현 대표, 엠게임 권이형 대표, 조이맥스 김창근 대표, 라이엇게임즈 오진호 해외사업총괄매니저 등 대표적인 게임업계 관계자들이 모두 모여 게임 축제를 즐겼다.
올해로 18회째를 맞은 '2013 대한민국 게임대상'은 14일부터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국제게임쇼 '지스타 2013'과 연계해 전야제 형식으로 열린 가운데, 시상식 후 게임인의 밤이 이어졌다.
부산=남정석 기자 bluesky@sportschosun.com
◇2013년 대한민국 게임대상 수상 내역
구분=세부분야=훈격(부문)=수상작(수상자)=개발사(소속)
대상=-=대통령상=아키에이지=엑스엘게임즈
최우수상=-=국무총리상=몬스터 길들이기=씨드나인게임즈
우수상=온라인게임=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킹덤언더파이어 온라인:에이지오브스톰=드래곤플라이
"=모바일게임='=윈드러너=링크투모로우
"=PC/비디오게임='=케이팝 댄스 페스티벌=스코넥엔터테인먼트
"=아케이드-보드게임='=젊어지는 마을=유니아나
기술창작상=게임기획/시나리오=스포츠조선 사장상=아키에이지=엑스엘게임즈
"=게임사운드=스포츠조선 사장상=에오스=엔비어스
"=게임그래픽=전자신문 사장상=아키에이지=엑스엘게임즈
"=게임캐릭터=전자신문 사장상=쿠키런=데브시스터즈
공로상=-=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최관호 대표=네오위즈인터넷
우수개발자상=-=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이길형 대표=링크투모로우
인기게임상=온라인게임=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장상=FIFA 온라인 3=넥슨
"=모바일게임='=모두의마블=엔투플레이
"=아시아 특별상 부문='=퍼즐앤드래곤=네오싸이언
"='='=신천룡팔부=창유닷컴
"=PC/비디오게임=게임물등급위원회위원장상=케이팝 댄스 페스티벌=스코넥엔터테인먼트
"=아케이드-보드게임='=젊어지는 마을=유니아나
게임 비즈니스 혁신상=-=한국콘텐츠진흥원장상=반승환 게임총괄 부사장=카카오
사회공헌우수기업상=-=게임문화재단이사장상=라이엇게임즈코리아=-
클린게임존상=-=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유비쿼터스 PC방, c&a PC방, 노라존게임랜드=-
◇대한민국 게임대상 역대 대상 수상작
연도=수상작=제작사=플랫폼
1996년=피와 키티=패밀리프로덕션=PC게임
1997년=왕도의 비밀=한겨레정보통신=PC게임
1998년=리니지=엔씨소프트=온라인게임
1999년=EZ2DJ=어뮤즈월드피아=아케이드게임
2000년=포트리스2=CCR=온라인게임
2001년=창세기전Ⅲ 파트2=소프트맥스=PC게임
2002년=네이비필드=에스디엔터넷=온라인게임
2003년=리니지2=엔씨소프트=온라인게임
2004년=킹덤언더파이어:더크루세이더=판타그램=비디오게임
2005년=열혈강호 온라인=엠게임=온라인게임
2006년=그라나도 에스파다=IMC GAMES=온라인게임
2007년=아바=레드덕=온라인게임
2008년=아이온:영원의 탑=엔씨소프트=온라인게임
2009년=C9=NHN게임즈=온라인게임
2010년=마비노기 영웅전=넥슨=온라인게임
2011년=테라=블루홀스튜디오=온라인게임
2012년=블레이드&소울=엔씨소프트=온라인게임
2013년=아키에이지=엑스엘게임즈=온라인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