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김소니아-김진영 데려온 신한은행, 팀 스타일 어떻게 바뀔까?

남정석 기자

기사입력 2022-05-16 10:49 | 최종수정 2022-05-16 10:50


신한은행은 FA 보상선수로 우리은행으로부터 김소니아(왼쪽), BNK로부터 김진영을 지명했다. 두 선수가 지난 2021~2022시즌 우리은행과 BNK의 맞대결에서 매치업 상대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WKBL



최선은 아니지만, 나름 전력 누수를 최소화 시켰다. 이제 주어진 과제는 이적생들과 기존 선수들의 시너지 극대화를 끌어올리는 일이다.

여자 프로농구 신한은행이 FA로 이적한 김단비 한엄지의 보상선수로 우리은행으로부터 김소니아, BNK로부터 김진영을 각각 지명했다. 또 FA로 구 슬을 영입하는 대신 김애나를 하나원큐로 떠나보냈다. 은퇴한 곽주영, 재계약을 포기한 정유진까지 합칠 경우 지난 시즌 함께 했던 멤버 중 5명과 결별하고 3명의 새로운 얼굴을 합류시켰다. 새로운 팀으로 다시 태어나는 수준의 변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신한은행의 전체적인 플레이 스타일에선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구나단 신한은행 감독의 표현대로 김소니아 김진영은 많이 뛰고 움직이는 스타일의 '에너자이저'와 같은 선수들이기 때문이다. 또 두 선수는 최근 두 시즌에 기량을 만개시킨 공통점이 있다. 구 감독이나 신한은행 사무국 모두 보호선수 명단에 김소니아 김진영이 빠질 것으로 예상했고, 이변 없이 두 선수를 지목했다.

오히려 공수 트랜지션은 지난 시즌보다 조금 더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김소니아는 김단비에 비해 리딩이나 수비 능력은 떨어지지만, 혼혈선수 특유의 탄력과 파워를 바탕으로 자신보다 큰 신장의 선수와 매치업을 잘 하고 리바운드를 걷어내는 능력도 뛰어나다. 골밑 돌파는 물론 중거리슛도 갖추고 있어 김단비의 빈자리를 상당 부분 메울 수 있음은 물론 구 감독으로서도 좀 더 다른 공수 옵션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진영은 박정은 BNK 감독이 '야생마'라 부를만큼 세기는 부족하지만 늘 파이팅이 넘친다. 자유투 성공률이 50%를 간신히 넘길 정도로 슛에 대해선 아직 보완할 점이 많지만, 지난 시즌 경기당 7개의 리바운드를 잡아낼 정도로 몸싸움을 피하지 않고 궂은 일을 잘 해낸다. 이런 스타일이기에 상대 수비와 상관없이 과감하게 골밑으로 돌파해 득점에 성공하며 분위기 반전을 해내는 역할도 종종 한다. 스피드를 활용한 속공 가담 능력도 한엄지보다 한 수 위이다.

결국 신한은행은 두 선수와 더불어 구 슬까지 합류하면서 강화된 포워드진에 다양한 공수 패턴이 결합된 특유의 '스몰 라인업' 농구를 더욱 강화시켜 나갈 것은 분명하다. 다만 센터 김연희를 잔류시켰지만 높이가 더 낮아졌고, 신구 멤버들의 팀워크가 빨리 만들어져야 하며, 김단비를 대신해 코트에서 구심점 역할을 할 선수를 빨리 키워나가야 한다. 또 많은 선수들의 이동으로 어수선해진 팀 분위기를 빨리 안정시키는 것도 다시 '원팀'이 되기 위한 중요 과제라 할 수 있다.
남정석 기자 bluesky@sportschosun.com


당신은 모르는 그 사람이 숨기고 있는 비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