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여자농구가 천신만고 끝에, 12년만에 올림픽 본선 무대에 다시 올랐다.
주전 혹사에 대해 비난을 받은 이문규 대표팀 감독은 "1승을 목표로 왔는데, 주전들이 오래 뛰지 않으면 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고 토로했지만, 4쿼터 16점차까지 점수가 벌어졌음에도 벤치 멤버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고 급격한 체력 저하로 막판 1점차까지 쫓길 때까지 작전타임 한번 부르지 않는 등 경기 운영이나 용병술에서 국가대표 감독으로서의 기대감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주전과 비주전의 실력 차이가 나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센터 박지수 정도를 제외하곤 대체 자원이 충분히 있었음에도 선수들을 신뢰하지 못하고 실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은 분명 지도력의 한계라 할 수 있다. 프로농구 우승팀 감독들이 국가대표 감독을 돌아가면서 하다가 여러가지 한계로 인해 지난해 이문규 감독을 전임 사령탑으로 선발한 대한민국농구협회에 대한 질타도 쏟아질 수 밖에 없다. 올림픽 개막까지 5개월여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감독을 교체하는 것이 쉽지 않다면, 이 감독을 보좌할 코치진에 대한 보강과 함께 상대팀에 대한 철저한 맞춤형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사실상 올림픽 본선에선 1승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올림픽은 12개국이 3개조로 나뉘어서 조별리그를 치러 상위 2개팀이 8강에 오르고, 3위 3개팀 가운데 성적이 좋은 2개팀이 마지막으로 합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12개국 가운데 10일 현재 한국(19위)보다 FIBA(국제농구연맹) 랭킹이 낮은 국가는 푸에르토리코(23위) 뿐이다. 랭킹 1위부터 5위까지인 미국, 호주, 스페인, 캐나다, 프랑스가 예상대로 모두 출전권을 따냈고, 10위권은 한국을 비롯해 일본(10위), 나이지리아(17위) 등 3개국에 불과할만큼 벽이 높다. 따라서 이 감독이 목표로 밝힌 8강 진출과 1승 획득을 위해선 수비에 대한 짜임새와 함께 한정된 자원에서 좀 더 효율적인 선수 선발, 여기에 빠른 공수 트랜지션과 이번 예선에서 보여준 적중율 높은 외곽포 장착 등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본선 조 추첨은 오는 21일 실시될 예정이다.
과정에 대한 아쉬움은 컸지만, 어쨌든 12년만의 올림픽 진출이라는 결과는 한국 여자농구로선 호재라 할 수 있다. 특히 1980~2000년대 '여자농구 황금기'를 보낸 세대가 모두 떠나고 올림픽에 첫 선을 보이는 젊은 선수들에겐 상위 랭커 팀들과 부딪히면서 냉정하게 자신의 실력을 파악하고,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또 국제 대회 성적 부진으로 인해 저변이 약화되고, 인기가 떨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기회로 만들 수도 있다. 물론 한국 농구 특유의 끈끈함을 보여준다면 경기 결과와 상관없이 국민들로부터 박수받을 수 있겠지만, 소극적이고 어이없는 플레이는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선수들이 실제로 모여서 훈련할 수 있는 3개월여의 기간에 한국 여자농구의 현재와 미래가 달려있다.
남정석 기자 bluesky@sportschosun.com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