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여자농구 단일팀 많은 산을 넘어야 한다

권인하 기자

기사입력 2018-07-31 13:52


5일 오후 평양 류경정주영체육관에서 진행된 남북통일농구경기가 모두 끝난 뒤 남측 임영희 선수와 북측 로숙영 선수가 포옹하고 있다. 2018.7.5 사진공동취재단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 출전하는 여자농구 남북 단일팀이 8월 1일부터 합동훈련을 시작한다.

로숙영(25·1m81) 장미경(26·1m67) 김혜연(20·1m72) 등 선수 3명과 정성심 코치로 구성된 북측 선수단은 29일 카누, 조정, 지원 인원 등과 남측으로 왔다. 하지만 남측 대표팀이 대만에서 열린 존스컵에 참가하고 30일 귀국해 대표팀이 함께 하지 못하고 있다. 1일 진천선수촌에서 남북 선수들이 모두 소집돼 훈련을 하며 손발을 맞춘다.

여자농구 대표팀은 단일팀 사상 첫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노린다. 2014년 인천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기에 대회 2연패를 노리는 것. 로숙영과 장미경 김혜연 등이 대표팀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지만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야 보배'라는 말처럼 단체 경기인만큼 선수들간의 호흡이 중요해 훈련 기간이 짧은 것은 아쉬움이 크다. 남측은 북측 선수들이 빨리 와서 존스컵에 함께 출전하기를 바랐다. 실제 경기를 하다보면 더 빨리 호흡을 맞출 수 있기 때문이다. 당장 용어부터 통일해야한다. 남측 선수들이 많고 이문규 감독이 이끌기에 남측이 쓰는 용어가 주로 쓰일 것으로 보인다. 북측 선수와 코치가 남측의 용어를 빨리 숙지를 해야한다. 짧은 작전 타임 시간에도 제대로 알아듣기 위해선 용어를 빨리 습득함과 동시에 익숙해져야 한다. 작전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으면 결과는 뻔하다.

북측 선수들이 진천 선수촌에서 숙박을 하지 않는 것도 시간적인 제약이 된다. 함께 숙식을 하면서 쌓는 정은 선수단을 빠르게 하나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여러 문제로 인해 북측 선수들은 조정, 카누 선수들과 함께 탄금호 경기장 인근의 숙소에서 잠을 잔다. 즉 오전에 진천 선수촌으로 와서 훈련을 하고, 훈련이 끝나면 다시 숙소로 돌아가는 것이다.

센터 박지수(20·1m96)의 합류 여부도 중요하다. 박지수가 뛰고 있는 WNBA 라스베이거스 에이시스의 정규시즌이 8월 20일(한국시각)에 끝나는데 라스베이거스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박지수가 플레이오프에 출전한다면 박지수의 아시안게임 출전은 무산된다. 현재 라스베이거스는 12승13패로 9위에 올라있다. 8위인 코네티컷 선(14승12패)과는 1.5게임차다. 아직 9경기를 남기고 있어 8위 이내의 성적도 가능하다. 대한민국농구협회는 박지수에게 합류를 요청한 상태고, 엔트리에도 넣을 생각을 가지고 있다. 라스베이거스가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한다면 박지수가 합류할 수 있겠지만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면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이다.

여자농구대표팀은 이번 존스컵에서 2승3패로 4위에 그쳤다. 박지수가 빠진 높이의 한계를 경험했다. 남북 단일팀이 이뤄져도 박지수가 없는 높이의 열세를 이기기는 쉽지 않다.

단일팀이 넘어야할 산은 많다. 남은 기간을 얼마되지 않는다. 남북이 함께 금메달을 이뤄내는 역사적인 순간을 맞이할 수 있을까.
권인하 기자 indyk@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