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권인하 기자]KBO리그에 2024시즌 큰 변화가 온다. 바로 로봇심판이다. 메이저리그에서도 아직 운영하지 않는데 KBO리그가 세계 최초로 올시즌부터 1군에서 운영하기로 했다.
심판들은 로봇 심판 훈련을 이미 한차례 가졌다. 보통 볼로 판정했던 낮게 떨어지는 커브가 로봇 심판에겐 스트라이크로 판정나는 경우가 많았다. 심지어 포수가 공을 받을 때는 미트가 땅에 닿을 정도였음에도 스트라이크 콜이 나왔다. 포수가 받을 땐 볼이지만 스트라이크존을 통과했다고 봐야한다.
앞으로 시범경기를 통해서 투수와 타자, 코칭스태프, 팬들 모두가 로봇심판에 적응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로봇심판의 스트라이크존을 이용하겠다고 했다. "높은 공을 잘 잡아주면 높은 쪽으로 많이 쓸 것 같고, 낮은 쪽으로 걸치는 공을 잘 잡아주면 비겁한 것 같지만 어쩔 수 없이 써야할 것 같다"라며 멋적은 미소를 지었다.
|
|
함덕주는 140㎞대의 직구와 체인지업, 슬라이더로 승부를 한다. 왼손 타자에겐 직구-슬라이더, 오른손 타자에겐 직구-체인지업 위주의 패턴으로 승부하는 스타일. 로봇 심판이 높은 공에 스트라이크를 잡아주면 직구로 헛스윙을 유도할 수 있고, 좌우로 낮게 걸치는 공을 스트라이크로 판정한다면 슬라이더와 체인지업으로 공략할 수 있다.
로봇 심판을 도입하는 장점은 스트라이크 존이 일정하다는 점이다. 함덕주 역시 이것을 생각하고 있었다. 그래서 "스트라이크 존을 비겁하게 사용해야 할 것 같다"라고 말했다. 타자가 볼이라고 생각해 배트가 나오지 않는 공을 스트라이크로 판정한다면 이를 이용해 자주 던지겠다는 뜻이었다.
컴퓨터가 보고 판정하는 스트라이크-볼에 대해 이제는 감독, 코치, 선수, 팬들 누구도 항의할 수가 없는 시대가 왔다. 컴퓨터가 스트라이크존을 통과했다고 하는데 누구에게 항의를 할 수 있나. 이제 투수와 타자 모두 새로워진 스트라이크 존을 어떻게 적응하고 활용하는가가 중요한 이슈가 됐다.
권인하 기자 indy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