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박상경 기자] "이런 선수들이 훌륭한 지도자로 성장했으면 한다."
이런 몬스터즈 구성원을 바라보는 김 감독의 시선은 어떨까. 그는 "선수들 나이를 듣고 깜짝 놀랐다. 이런 선수들이 너무 쉽게 은퇴한 것 아닌가"라며 "한 명의 좋은 지도자가 나오면 좋은 선수가 더 늘어날 수 있다. 최강야구에서 뛰는 이들은 뛰어난 선수였고, 야구에 대한 확실한 의식도 있다. 이런 선수들이 훌륭한 지도자로 성장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 감독이 강조한 '지도자'라는 단어는 최근 KBO리그 안팎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은퇴=지도자'라는 공식은 서서히 희미해졌다. 최근엔 은퇴 후 지도자 코스를 밟는 스타 선수들의 모습을 보기 쉽지 않다. TV 해설, 예능 출연 등 야구장 바깥에서 제2의 인생을 출발하는 경우가 더 많다.
청춘을 바친 그라운드, 좋은 추억도 있지만 피나는 노력 속에 남모를 눈물도 묻어 있기 마련. 매일이 생존경쟁이었던 야구장에서의 스트레스를 뒤로 하고 새로운 인생을 살고자 하는 그들의 마음을 폄훼할 순 없다. 그러나 그들이 야구장에서 떨친 기량, 오랜 세월을 거치며 쌓은 노하우가 후배들에 대물림 되지 못한다는 것은 못내 아쉽다.
KBO리그의 한 관계자는 "선수 시절에 비해 박봉인 코치 생활이 물론 쉽진 않다. 하지만 지도력을 보여주고 연차가 쌓이면 보상은 자연스럽게 따라오기 마련"이라며 "최근 은퇴 선수들은 '쉬운 길'만 택하는 것 같다. 좋은 선수 못지 않은 젊고 능력 있는 지도자가 계속 나와야 리그 경쟁력도 살아날텐데…"라고 아쉬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박용택은 "이제 나이가 들어서 선수로는 감독님의 가르침을 따라가기 어렵지만, 감독님 옆에서 '가르치는 사람'의 자세를 배우겠다"고 말했다. 김 감독과 최강야구는 과연 구성원들에게, 그리고 한국 야구에 어떤 울림과 바람을 전할까. 그 행보가 기대된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