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美가을야구 '얼리 클로저' 파격수→고우석·정해영도 7회에 나올까?

한동훈 기자

기사입력 2022-10-09 19:59 | 최종수정 2022-10-09 21:02


LG 고우석(왼쪽), KIA 정해영.스포츠조선DB

[스포츠조선 한동훈 기자] 2022 메이저리그 포스트시즌에서 또 파격적인 승부수가 등장했다. 마무리투수를 두 박자 빠른 타이밍에 기용해 주도권을 미리 낚아채는 작전이다. 리그 최강급 마무리가 8회도 아닌 7회에 등판했다.

KBO리그도 곧 가을야구에 돌입한다. 우리나라 포스트시즌에서도 이런 모습이 나올지 궁금하다.

위와 같은 공격적인 투수교체로 재미를 본 팀은 바로 뉴욕 메츠다.

메츠는 9일(한국시각) 뉴욕 시티필드에서 열린 2022 메이저리그 내셔널리그 와일드카드 결정전 2차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경기에 3-2로 근소하게 앞선 7회초, 마무리 에드윈 디아즈를 곧바로 투입했다. 시리즈 1패로 뒤진 상태였기 때문에(3판 2선승)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이겨야만 하는 경기였다. 때문에 이 용병술은 메츠가 엄청난 시뮬레이션 끝에 도출한 최선의 한 수였음에 틀림없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디아즈는 7회를 실점 없이 막았다. 메츠는 7회말 대거 4점을 뽑았다. 메츠 벅 쇼월터 감독의 어깨가 으쓱할 만한 전개였다. 디아즈(시즌 32세이브)는 8회 2사까지, 아웃카운트 5개를 책임졌다. 남은 아웃카운트 4개는 셋업맨 아담 오타비노(19홀드)와 세스 루고(16홀드)가 합작했다.

KBO리그에서는 불펜이 양과 질적으로 모두 풍족한 LG 트윈스와 비교하면 이해하기 편하다. 고우석(시즌 42세이브)이 7회에 나와 급한 불을 끈 뒤 정우영(35홀드)과 이정용(22홀드)이 남은 1⅓이닝을 삭제하는 것이다. KIA 타이거즈 정해영(32세이브), KT 위즈 김재윤(32세이브) 등도 해당된다.

다만 이 작전은 매우 제한된 조건에서만 완벽하게 펼칠 수 있다.

6회까지 단 1점 앞선 상황에서, 7~8회에는 반드시 추가득점에 성공해야 하며, 셋업맨급 투수 최소 2명이 불펜에 남아 있어야 한다.


먼저 가장 큰 위험요소는 추가득점 실패다. 마무리를 먼저 꺼내는 이유는 가장 위험한 순간을 무조건 막겠다는 의도다. 그리고 단 1점이라도 점수 차이를 더 벌려놓고 나서, 비교적 여유가 있는 상황을 조성해, 셋업맨으로 마침표를 찍는다는 계획이다. 여기서 도망가지 못하면 셋업맨이 그대로 1점 차이에 8~9회에 등판하는 상황에 내몰린다. 작전 의도가 퇴색된다.

장점은 7~8회에 확실한 승기를 틀어쥘 수 있다는 것이다. 가진 전력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다 활용한다는 점에서 상대보다 앞선다. 1점 리드한 7~8회에 셋업맨이 동점을 허용하는 경우는 숱하게 벌어진다. 마무리를 써보지도 못하고 벼랑 끝에 몰릴 수 있다.

전통적으로 메이저리그는 트렌드를 주도했다. 선발투수가 없는 오프너 게임(불펜 게임), 강타자를 4번이 아닌 1~2번에 배치, 단기전 최종전에서는 에이스까지 불펜 대기 등등 이미 KBO리그에서도 익숙해진 장면들이다. 올해 나온 메츠의 변칙 운용이 KBO리그에도 바로 등장할 것인지 관심을 모은다.


한동훈 기자 dhhan@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