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전면드래프트 부활]KBO, "아마야구지원 토탈방식 고려중"

박재호 기자

기사입력 2019-07-17 09:12


9일 제74회 청룡기 전국고교야구선수권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 효천고와 라온고의 경기가 서울 목동야구장에서 열렸다. 쾌청한 7월 날씨 속에 경기가 펼쳐지고 있다. 목동=송정헌 기자 songs@sportschosun.com/2019.07.09/

전면 드래프트가 부활된다. 지금까지 수십년째 드래프트 방식을 놓고 갈지자 행보를 보였던 첫 번째 이유는 구단들의 '제 밥그릇 챙기기'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많았다.

전면 드래프트가 시행되면 지방 중·고교팀이 직격탄을 맞게 될 것이라는 얘기가 꾸준히 돌았다. 프로팀들이 지역 연고 아마팀을 챙길 이유가 줄어들기 때문에 지원이 감소될 수 있다. 또 지방팀의 1차지명 메리트가 사라지면 유망주들의 서울 쏠림 현상도 지금보다 더 가속화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KBO(한국야구위원회)와 10개 구단은 다각도로 아마추어 지원 방식을 고민중이다.

전면 드래프트의 시행은 3년 뒤 부터다. 시행 시기를 3년 뒤로 정한 것은 서울 3팀의 1차 지명 우선권 순서 때문. 서울을 공동 연고로 하는 3팀은 매년 번갈아 가며 1차지명 우선권을 행사했다. 올해는 LG 트윈스, 내년은 키움 히어로즈, 내후년은 두산 베어스 순이다. 전면 드래프트는 이 3팀의 순차 지명이 종료되는 2022년(2023년 신인)부터 시행된다.

하지만 부작용 최소화를 위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KBO 관계자는 "아마야구 지원은 구단별로 차이가 있다. KBO는 아마야구 지원과 육성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KBO 내 육성팀에서 창단 지원금 위주로 지원을 했고, 구단들이 따로 지원을 해 왔다. 이제는 구단들이 지원하던 부분들까지 KBO가 유지 ,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 지역야구 활성화 차원에서의 연고지역과 지방팀의 연계 방안도 고민하겠다"고 했다.

또 "전면 드래프트가 시행되면 지명도 있는 선수, 실력 있는 선수들의 서울 선호 경향이 짙어질 수 있다. 지금까지는 중학교 때 연고지를 떠나면 해당 연고선수로 남게 했다. 이제는 모든 규제가 사라진다. 꽤 큰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KBO와 구단들이 부모님들 입장에서도 고민을 해봐야 한다. 하지만 드래프트의 중대원칙, 최종목표는 전력평준화다. 꼴찌팀이 1번 지명권을 갖는 것이 골자다. 난제들은 머리를 맞대고 풀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호 기자 jhpark@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