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잠실에서 부활할까.
서로의 이익이 맞아떨어졌다. LG와 두산은 모두 투수들이 필요했다. LG는 지난해 중반까지 상위권을 유지했다가 후반에 무너졌다. 투수진이 무너진 것이 이유였다. 좀 더 마운드를 견고하게 쌓을 필요가 있었고, 경험이 많은 장원삼과 심수창을 받았다.
두산 역시 마찬가지. 지난시즌 정규시즌 최다승 1위 팀이었지만 마운드는 불안했다. 선발진에서 유희관과 장원준이 부진했고, 불펜진은 두텁지 못했다. 김강률이 부상으로 빠지면서 두산의 불펜진은 한국시리즈에서 SK보다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잠실구장이라는 큰 곳에서 시즌의 절반을 치르기에 베테랑들의 구위가 떨어졌더라도 큰 것을 맞을 확률이 다른 구장보다는 낮다는 점이 이들이 베테랑들 영입에 적극적일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작은 인천 SK행복드림구장이라면 홈런에 대한 부담이 크지만 잠실에선 정말 잘 쳐야 넘어간다는 생각에 좀 더 자신감을 가지고 던질 수 있다. 올시즌에 공인구의 반발계수가 낮아져 홈런에 대한 부담이 좀 더 줄어든다는 점도 고려대상이다.
투수들도 이런 점 때문에 잠실을 선호한다. 장원삼은 삼성시절에도 잠실에서 좋은 피칭을 해 잠실이 홈에서 던지는 것을 좋아했다.
생활적인 면에서도 서울을 좋아한다. 대부분 결혼해서 아이도 있는 선수들이 대부분이라 교육문제 등에서 가족들이 서울을 좋아한다는 것.
실제로 성적이 좋지 않아 팀에서 나온 베테랑들이 잠실에서 부활한 사례는 있다. SK에서 방출당한 김승회가 2017년 두산으로 와 부활했다. 2016년 SK에서 23경기 등판 1승1패 4홀드, 평균자채점 5.92에 그쳤던 김승회는 2017년 두산에서 69경기 등판, 7승4패 11홀드, 평균자책점 4.96을 기록했고, 지난해엔 55경기 등판에 3승4패 3세이브 11홀드 평균자책점 3.46으로 더 안정적인 피칭을 했다.
2015년 롯데에서 10경기, 6⅓이닝만 던졌던 정재훈은 2016년 두산에서 46경기에 등판해 1승5패 2세이브 23홀드, 평균자채점 3.27로 부활했다. 타구에 맞는 부상만 없었다면 현역생활을 더 할 수 있을만큼 좋은 피칭을 했었다.
잠실이라는 곳이 부활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지만 잠실에서마저 부진하다면 더이상 기댈 곳은 없어진다. 마지막이라는 각오가 진짜 필요하다.
권인하 기자 indyk@sportschosun.com
봄방학 신나는 초등생 스키캠프 열린다!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