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산 베어스가 한국시리즈 2차전서 멍군을 불렀다. 홈런 등 11안타를 폭발시키며 7대3으로 이겼다. 전날 3대7 패배를 정확하게 되갚아준 셈이다. 한국시리즈 2차전을 키워드 세 가지로 살펴본다.
두산은 4회말 양의지의 좌전안타 때 공필성 3루 주루코치의 과감한 팔 돌리기가 적중했다. 무사 2루서 양의지의 벼락같은 좌전안타가 나왔을 때, 2루 주자 김재환이 홈을 파고들 거라고는 아무도 생각하지 못했다. 김재환은 라인 드라이브성 타구가 내야수에 잡히는 줄 알고 뛰지 않고 타구를 지켜보고 안타가 되는 걸 확인하고 뛰기 시작했다. 전력질주도 아니었다. 홈으로 대시하기엔 타이밍상 늦었다고 판단한 것. SK 좌익수 김동엽이 공을 잡았을 때, 김재환은 3루에 도달하지 못했다.
그런데 공 코치는 쉬지 않고 팔을 돌렸다. 김동엽이 홈으로 송구하기 힘든 것을 알고 있었고, 늦은 타이밍이라 SK 수비진이 주자가 홈으로 뛰지 않을 것으로 생각해 플레이를 천천히 할 것이란 것을 감안한 홈 대시였다.
중심타자
두산 김태형 감독은 2차전을 앞두고 "중심타자가 해줘야한다"고 했다. 큰 경기에서 중심타선의 활약에 따라 분위기가 좌우되기 때문이다. 1차전에선 SK 4번 박정권이 분위기를 가져오는 역전 투런포를 쳤다. 2차전에선 양팀 중심타자의 양상이 180도 바뀌었다. SK는 최 정-로맥-박정권-이재원으로 중심타선이 만들어졌고, 두산은 박건우-김재환-양의지-최주환이 나섰다.
두산은 박건우가 안타를 치지 못했지만 4번 김재환이 2루타 2개 포함해 3안타를 쳤다. 양의지가 4타수 2안타 2타점, 최주환이 투런포 포함 4타수 3안타 3타점을 기록했다. 4명의 타자가 8개의 안타를 합작했다. 타율 5할3푼3리. 이 중심타선을 통해 5점을 얻었다.
반면 SK 중심타선은 힘을 쓰지 못했다. 로맥이 1회초에 친 안타와 박정권이 8회체 친 안타가 전부였다. 4명이 15타수 2안타를 기록했으니 타율이 1할3푼3리. 하위타선이 분전했지만 중심타선의 폭발이 없다보니 따라가는데 한계가 있었다.
실책
큰 경기에서 홈런 다음으로 경기의 흐름을 바꾸는 역할을 하는 게 실책이다. 탄탄한 수비를 자랑하는 두산도 큰 경기에서는 실책을 했고, 그것이 경기의 분위기를 완전히 바꿨다.
두산이 4-1로 앞선 7회초 수비. 선발 세스 후랭코프는 7회에도 건재했다. 1사후 김동엽에게 안타를 맞았지만 이전 두 번의 안타를 허용했던 8번 박승욱을 삼진으로 잡았다. 이어 9번 김성현을 3루수 땅볼로 유도했다. 두산 3루수 허경민이 3루 라인 선상에서 공을 잡았다. 허경민은 먼저 2루를 바라봤는데 늦었다. 1루로 몸을 틀었고, 빠르게 공을 던졌다. 그런데 송구가 낮게 원바운드가 됐다. 1루수 오재일이 바운드를 맞춰서 잡는가 했지만 미트 아래로 공이 흘렀다. 이닝이 끝나야할 상황이 2사 2,3루가 됐다. 이어 김강민의 행운의 빗맞은 안타 때 주자 2명이 홈을 밟아 4-3이 됐다. 이후 한동민의 볼넷으로 1,2루가 됐고, 후랭코프가 강판됐다. 박치국이 3번 최 정을 삼진으로 처리해 간신히 1점차 리드를 유지했다.
두산은 1차전에서도 9회초 오재일의 실책으로 추가 2실점하며 추격의 동력을 잃었다. 2차전에서도 실책으로 팀이 위험에 빠졌다. 다행히 8회말 추가점을 뽑아 여유를 되찾으며 실책은 잊혀졌다.
잠실=권인하 기자 indy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