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패 뒤 3연승. 그동안 두산 베어스가 자주 만들어왔던 성적이다. 하지만 이 성적은 현재, 두산을 상대하고 있는 KIA 타이거즈의 성적이다. 1승 뒤 3연패한 두산은 지금 벼랑 끝에 몰려있다.
가장 극적인 리버스 스윕은 지난 2015년 삼성과의 한국시리즈에서 1패 뒤 4연승으로 우승을 차지한 것이다. 오히려 지난 해 한국시리즈에서 패 없이 4승을 한 것이 어색할 정도다. 덕분에 두산은 '미라클 두산'이라는 닉네임까지 얻었다.
올해 두산은 한국시리즈에서 1패만 더하면 준우승에 머물게 된다. 하지만 팬들은 두산이기에 아직 리버스 스윕에 대한 기대를 놓지 않고 있다.
|
불펜도 비교적 괜찮다. 이현승이 안정감을 찾았고 함덕주도 이동일 휴식만 취해준다면 충분히 제 모습을 되찾을 가능성이 있다. 김강률은 4차전에 등판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시 여유가 생겼다.
타선은 김태형 감독의 말대로 "항상 어떻게 될지 모른다." 플레이오프 4차전 후 "오재일의 홈런 4개를 어떻게 봤나"라는 질문에 김 감독은 농담처럼 "나눠 쳐주지"라고 속내를 말하기도 했다. 이제 그 말이 농담이 아니라 진심이 됐을 법하다. 플레이오프 때 폭발적이던 타선이 한국시리즈 3경기에서 이렇게 침묵할지 누가 예상이나 했을까.
하지만 두산 타선은 또 언제 그랬냐는 듯 다시 살아날 수 있다. 시즌 중에도 늘 그래왔다. 몇 경기 침체를 보이다가도 갑자기 활활 타오르는 타선에 두산팬들이 웃음지을 때가 한 두번이 아니었다.
가장 타격감이 떨어진다고 여겨지는 양의지도 4차전에서는 배트 중심에 맞추며 가능성을 보였다. 민병헌은 꾸준하고 박건우 김재환 오재일의 중심타선도 기대를 거둘 정도는 아니다.
이제 두산에게는 1경기가 남았을 수도, 3경기가 남았을 수도 있다. 그리고 그동안의 모습을 봤을 때 이렇게 허무하게 끝낼 두산은 아니다.
고재완 기자 star77@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