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2안타 침묵 나성범의 성장통, '아프니까 청춘이다'

노주환 기자

기사입력 2016-11-03 06:45


11월 1일 창원 마산야구장에서 KBO리그 한국시리즈 3차전 NC 다이노스와 두산 베어스의 경기가 열렸다. 두산 보우덴과 NC 최금강이 선발 맞대결을 펼쳤다. 6회 NC 나성범이 파울 타구를 날리며 고개를 떨구고 있다. 나성범은 결국 볼넷으로 출루했다.
창원=송정헌 기자 songs@sportschosun.com/2016.11.01

1일 오후 창원시 마산야구장에서 2016 프로야구 두산과 NC의 한국시리즈 3차전이 열렸다. NC 나성범과 이호준이 덕아웃에서 경기를 지켜보고 있다.
창원=김경민 기자 kyungmin@sportschosun.com / 2016.11.01.

NC 다이노스가 두산 베어스와의 2016년 한국시리즈에서 4패로 준우승에 머물렀을 때 나성범(27)의 얼굴은 싸늘하게 굳어 있었다. 나성범은 NC의 3번 타자다. NC 중심 타선 '나테이박'의 출발점이다. 그런 그는 이번 한국시리즈 타석에서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 14타수 2안타(타율 0.143). 1~2차전에서 안타 1개씩 친 게 전부였다.

나성범은 2012년 프로 입단 이후 5년 만에 처음으로 한국시리즈에 올랐다. 첫 경험은 아팠다. 맘먹은 대로 되지 않았다. 타석에서 부담감을 이겨내지 못했다.

나성범의 타격 부진은 정규시즌 9월부터 시작됐다. 8월 30일 kt전 홈런 이후 2개월 넘게 홈런포가 나오지 않았다.

그는 9월부터 무너진 타격감을 한국시리즈 4차전까지 되살려내지 못했다. LG 트윈스와의 플레이오프에서 막판 좋은 타구를 만들면서 회복세를 보였다. 그러나 한국시리즈에선 두산의 '판타스틱4' 선발진을 만나 다시 방망이가 얼어붙었다.

나성범은 타석에서 자신감을 잃었다. 선구안이 좋지 않았다. 맞히는데 급급한 스윙을 하다보니 자신의 배트 타이밍이 흔들렸다. 145㎞ 이상의 빠른 직구에 전혀 타이밍을 맞히지 못했다. 또 볼카운트가 몰린 상황에서 던지는 상대 배터리의 하이 패스트볼에 헛스윙이나 파울 타구를 날리며 말려들었다.

중심 타선의 시작점이 막히면서 '나테이박'은 파괴력을 잃었다. 테임즈가 4차전 마지막 타석, 9회에 솔로포를 친 게 전부였다. '나테박이'의 한국시리즈 타율은 9푼6리. 52타수 5안타 1타점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나성범의 이번 타격 부진을 경험 부족에서 찾는다. 나성범은 올해까지 정규시즌 3년 연속 타율 3할, 20홈런 이상, 100타점 이상을 기록했다. KBO리그를 대표하는 외야수 중 한 명이며 국가대표이기도 하다.

그러나 나성범도 포스트시즌은 이제 3년차다. 2014년 첫 준PO(타율 0.313 1홈런 1타점)를 경험했다. 지난해엔 첫 PO에서 타율 2할6푼3리 2타점을 기록했다.


나성범 같은 성장통을 겪은 스타 플레이어는 적지 않다. 한화 4번 타자 김태균은 2005년 두산과의 준PO에서 극심한 타격 부진으로 마음고생이 심했다. 당시 야유를 퍼붓는 팬들을 향해 불편한 심기를 고스란히 드러내기도 했었다. 이후 김태균은 국내 최고 타자 대열에 합류했고, 일본 무대를 찍고 친정 한화로 복귀해 지금까지 정상을 유지하고 있다.

김경문 감독이 두산 사령탑 시절 키워냈다고 볼 수 있는 김현수(볼티모어)의 경우도 2000년대 후반 '가을야구'에서 기대이하의 타격감으로 적잖은 애간장을 태웠다. 그랬던 그도 2015시즌 가을야구에선 맹타를 휘둘렀다. 그로 인해 정규시즌 3위 두산은 준PO PO를 통과해 한국시리즈에서 당시 최강 삼성까지 무너트리고 우승할 수 있었다.

나성범은 2016년 가을을 평생 잊지 못할 것이다. 챔피언 두산 선수들이 4연승으로 정상에 올라 우승 메달을 받고 있을 때 나성범을 비롯한 NC 선수들은 쓸쓸히 라커룸에서 귀가할 채비를 했다. 이런 쓰라린 경험이 결국 나중에 정상에 섰을 때는 귀중한 자산으로 잡을 것이다.


창원=노주환 기자 nogoon@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페이스북트위터]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