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BA 3할↑ 16명→41명, 타자 변별력 떨어진다

노주환 기자

기사입력 2016-10-04 08:36


6일 오후 대구 삼성 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2016 프로야구' 삼성 라이온즈 대 kt 위즈 경기 2회말 삼성 선두타자 최형우가 솔로홈런을 치고 있다. (김은규 기자/news@isportskorea.com)

NC 다이노스와 넥센 히어로즈의 2016 프로야구 경기가 18일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렸다.
5회초 1사 NC 테임즈가 두 번의 볼넷을 얻어낸 후 세번째 타석에서 안타를 치고 있다.
고척돔=정재근 기자 cjg@sportschosun.com/2016.08.18/

한화 이글스와 넥센 히어로즈이 2016 프로야구 경기가 4일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렸다.
1회초 2사 2루 한화 김태균이 1타점 안타를 치고 있다
고척돔=정재근 기자 cjg@sportschosun.com/2016.09.04/

극심한 '타고투저' 현상이 휩쓸고 있는 2016시즌 KBO리그에선 정말 잘 치는 타자들을 구분하기 힘들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올해 KBO리그는 역대급 '타고투저'가 이어지고 있다. 역대 최고로 평가받았던 2014년의 수치를 뛰어넘고 있다.

올해(3일 현재) 타율 3할 이상인 타자가 41명이다. 규정 타석을 채운 54명의 타자 중 76%가 3할 이상을 기록 중이다. 팀당 베스트9 중 평균 4명 정도가 3할 이상을 치고 있는 셈이다.

외국인 타자 제도가 부활한 2014시즌, 타율 3할 이상인 선수는 36명이었다. 2015시즌 28명으로 약간 줄었다가 다시 올해 41명으로 치솟았다.

홈런과 타점도 마찬가지다. 30홈런 이상을 친 선수도 올해 7명이다. 2014시즌 7명, 지난해 6명과 비슷한 수준이다. 100타점은 올해 12명. 최종적으로 시즌을 마칠 경우 한두 명 더 늘어날 수 있다. 지난해 14명이었고, 2014시즌엔 7명이었다.

이런 타격 지표들은 2014시즌을 기점으로 큰 변화가 왔다. 외국인 타자가 없었던 2013시즌엔 3할 이상 타자(16명), 30홈런 이상 타자(1명), 100타점 이상 타자(1명) 등의 수치가 전부 낮았다.

KBO리그는 경기의 재미를 더하는 차원에서 2014시즌부터 외국인 타자를 1명씩 의무화하기로 변화를 주었다.

타자 1명을 바꾼 것 뿐인데 그 효과는 바로 크게 나타났다. 이번 시즌까지 3년 동안 타자들이 득세했고, 투수들은 기를 펴지 못했다. 투수들의 성적 지표들은 전부 떨어졌다. 평균자책점은 치솟았고, 10승 이상을 안정적으로 해줄 수 있는 A급 선발 투수들이 줄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타자와 경쟁하면서 투수 보다 토종 타자들의 기량이 늘었다"고 말한다. 올해 타율 톱 10안에는 전부 국내 선수만 있다. 외국인 선수 타율 1위는 한화 로사리오(0.321)로 전체 19위다. 지금 페이스라면 외국인 타자가 없어도 '타고투저' 현상이 바로 '투고타저'로 바뀌지 않을 것 같은 분위기다.

이런 타격 인플레이션 분위기는 타자 평가에 대한 생각을 달리하자는 목소리로 이어지고 있다. 김인식 WBC 국가대표팀 감독은 "타자들의 기술이 발전하고 있고, 노력도 많이 하고 있는 건 사실이다. 그러나 요즘 KBO리그를 보면 타자들이 잘 치는 게 아니라 투수들이 잘 못 던지는 것으로 봐야 한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러면서 전문가들 사이에선 '타율 3할=A급 타자'라는 등식이 깨졌다는 얘기에 설득력이 실리고 있다. 일반적인 타율 보다 외국인 투수 또는 A급 투수, 구속 145㎞ 이상의 빠른 공에 얼마나 잘 대처하느냐 식으로 좀더 세분화된 평가를 해야만 타자들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노주환 기자 nogoon@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페이스북트위터]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