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리퍼트대사 인터뷰]② 한화 대전구장, 리글리필드와 비슷한 분위기

민창기 기자

기사입력 2016-09-28 18:11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가 대사관저인 하비브하우스에서 스포츠조선을 만나 자신의 한국야구에 대한 사랑과 관심에 대해 솔직하게 밝혔다. 한국 부임 후 자신의 고향팀인 신시내티 레즈 만큼 좋아하게 된 두산 베어스에 대해서도 솔직한 애정을 표했다. 리퍼트 대사는 경기장을 찾을때 자신의 이름이 새겨진 볼을 가져가 자신을 알아본 팬들에게 사인을 해주는 팬서비스로도 유명하다. 조병관기자 rainmaker@sportschosun.com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가 대사관저인 하비브하우스에서 스포츠조선을 만나 자신의 한국야구에 대한 사랑과 관심에 대해 솔직하게 밝혔다. 한국 부임 후 자신의 고향팀인 신시내티 레즈 만큼 좋아하게 된 두산 베어스에 대해서도 솔직한 애정을 표했다. 조병관기자 rainmaker@sportschosun.com

프로야구팬들에게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43)는 굉장히 친숙한 얼굴이다. 두산 베어스 열성팬인 리퍼트 대사는 틈만나면 경기장으로 달려와 관중석에서 경기를 즐기고, 일반팬들과 어울린다. 야구장에서 그를 만나면 특별한 선물을 받을 수도 있다. 야구팬들이 사진촬영을 요청하면 친절하게 응하면서 '성조기에 미국대사 직함'이 박힌 특별 제작한 야구공에 사인을 담아 건넨다.

이쯤되면 KBO리그 '최고 열성팬'이라고 할만하다. 리퍼트 대사의 야구사랑은 두산, 잠실구장을 훌쩍 넘어선다. 잠실구장은 물론, 4월 28일 수원 케이티위즈파크에서 열린 kt 위즈-롯데 자이언츠전 시구를 했고, 부산 사직구장, 창원 마산구장, 대전 한화생명이글스파크, 대구 삼성라이오즈파크, 인천 SK행복드림구장, 광주 기아챔피언스필드를 찾았다. 이번 시즌에 고척 스카이돔을 제외한 KBO리그 전 구장을 방문했다. 물론, 국내 최초의 실내구장인 고척 스카이돔에도 발자국을 찍었다. 지난해 11월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린 프리미어 12 한국대표팀과 쿠바대표팀의 평가전을 가족과 함께 관전했다. 지난 9월 부산 기장군 현대드림볼파크에서 열린 2016년 세계여자야구월드컵대회 때는 시구자로 나섰다. 한국야구위원회(KBO) 명예홍보대사다운 '광폭'행보다.

27일 서울 중구 정동 하비브 하우스(미국대사관저)에서 만난 리퍼트 대사는 살짝(?) 들떠있었다. 정규시즌에서 21년 만에 우승한 두산의 한국시리즈를 기다리고 있었다. 지난해 한국시리즈를 현장에서 지켜본 리퍼트 대사는 이번 한국시리즈에 "반드시, 꼭 갈 것이다"고 했다. 리퍼트 대사의 두산 사랑, 한국야구 이야기를 들어보자.

-두산 유니폼과 모자를 착용하고 관전하는 걸 봤다. 한국 야구장에서 구입한 팬 용품, 유니폼이 궁금하다. 개인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가장 세련된 유니폼을 갖고 있는 팀이 어디인가.

선물로 받은 것도 있지만 대다수는 샀다. 영화 '미스터고'에 나오는 두산의 고릴라를 좋아한다. kt 위즈의 마스코트, SK 와이번스의 피카츄도 마음에 든다. 아내는 삼성 라이온즈 머리띠에 애착이 있다. 유니폼은 어두운 색깔의 두산 옛 유니폼(올드 원정 유니폼), 파란색과 빨간색이 나눠져 있는 롯데 유니폼(롯데가 챔피언스데이 때 입는 옛 원정 유니폼), '인천(INCHEON)'이 박힌 SK 유니폼을 가장 좋아한다.

-그런데, 왜 부인과 아이는 대사가 응원하는 두산이 아니고 삼성 팬인가.

세준(洗俊)이 이름을 받을 때 사주를 봐주신 분이 삼성 팬이다. 또 세준이가 파란색을 좋아해 여러 유니폼이 있으면 가장 먼저 집는다. 사자 마스코트를 굉장히 좋아한다. (리퍼트 대사는 지난해 태어난 아들 이름을 제임스 윌리엄에 미들네임 '세준'으로 지었다)


-지방구장까지 KBO리그 대다수 구장을 방문했다. 어느 구장이 가장 인상적이었나.


2015 KBO리그 두산베어스와 롯데자이언츠의 경기가 18일 서울잠실야구장에서 열렸다. 경기전 주한미국대사 리퍼트 기념시구를 하고 있다. 잠실=최문영 기자 deer@sportschosun.com /2015.04.18/
굉장히 어려운 질문이다. 모든 구장을 다 가봤다. 일단 삼성, SK, KIA, kt(리모델링)는 모두 새로 지은 야구장이다. 아름답고 현대적인 느낌이다. 그런 느낌을 원하면 이 구장 중 한 곳을 가면 된다. 반면 부산 사직구장은 전통적인 느낌이 들었다. 열기가 엄청나고 팬들이 다양한 음식을 드신다.(웃음) 흥미로운 경험이었다. 또 한화의 홈구장 대전은 리글리필드(시카고 컵스 홈구장), 팬웨이파크(보스턴 레드삭스)와 비슷한 것 같다. 구장이 작고, 관중석에서 그라운드가 가깝고, 응원 문화가 너무 재미있다. 핵심은 모든 구장이 독특한 분위기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야구팬들이 무엇을 원하느냐에 따라 달려있다. 각 구장이 다 특별하기 때문에 어느 곳을 가든 얻을 것이 있다.

-한국에 처음 온 외국인 선수들은 응원 문화, 치어리더를 신기해 한다. 경기 중에 덕아웃에서 나와 관중석을 봤다는 선수도 있다. 신나는 응원도 좋지만, 경기에 집중하기 어려운 점이 있는데.

(이 대목에서 리퍼트 대사는 kt의 응원가 "안타를 쳐주세요 안타 쳐줘요", "최강 두산 에반스"를 한국말로 직접 불렀다) 취향 문제다. 개인적으로 나는 좋아한다. 이 부분이 바로 KBO리그 매력이 아닌가 싶다. 마치 미국 대학 풋볼이랑 비슷한 분위기다. 치어리더도 있고 시끄럽고 역동적이고. 아주 독특한 경험이다.


민창기 기자, 함태수 기자

3편에 계속

스포츠조선 바로가기페이스북트위터]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