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7월 타격전 좀 심하다. 전체타율 3할6리. 경기시간 3시간41분.

권인하 기자

기사입력 2016-07-12 02:53


넥센 고종욱이 10일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린 NC전 2회말 1사 1,2루서 1타점 적시타를 치고 있다. 고종욱은 7월에만 타율이 5할4푼3리나 된다. 고척돔=김경민 기자 kyungmin@sportschosun.com

올해 또 역대 최고 타율을 보게될까.

반환점을 돈 KBO리그의 불같은 방망이가 식을 줄 모른다. 2014년부터 시작된 타고투저의 바람이 올시즌에도 어김없이 불고 있다.

11일 현재 720경기 중 약 55%인 395경기를 소화한 가운데 KBO리그 전체 타율이 2할8푼8리나 된다. 이는 역대 최고 타율인 2014년의 2할8푼9리에서 1리 모자란 수치다. 현재로선 역대 2위인 지난해의 2할8푼을 넘길 수 있고, 역대 최고 타율도 바라볼 수 있는 상황이다.

투수들의 힘이 넘쳐나던 4월에만 전체 타율이 2할7푼2리였고, 5월부터는 2할8푼 이상을 기록했다. 사실 4월의 2할7푼2리도 높은 수치에 해당되는데 최근의 타고 투저에선 매우 준수한 기록으로 보인다.

7월엔 그야말로 웬만한 경기는 타격전 양상이다. 11일 현재 7월에 치른 31경기의 타율이 무려 3할6리다. 팀타율 1위인 KIA는 3할4푼3리나 되고 2위인 넥센도 3할2푼9리를 기록하고 있다. 4위 SK도 3할1푼6리로 무려 4팀이 3할 이상의 팀타율을 보인다. 7위인 NC의 팀타율은 2할9푼. 9위인 두산이 2할8푼4리다. 꼴찌인 kt만 2할4푼2리의 '돌연변이'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양팀 합계 6점 이내로 끝난 경기가 겨우 4경기에 불과할 정도로 쉽게 득점이 난다.

타격전이 벌어지니 당연히 경기시간도 길어진다. 6월까지의 KBO리그 평균 경기시간은 3시간 23분이었다. 그런데 7월 평균 경기시간은 무려 3시간41분이나 된다. 경기시간이 가장 짧은 팀은 NC였는데 3시간26분이었고 2위인 두산도 3시간27분. 가장 길게 경기를 한 팀은 삼성이다. 경기마다 평균 4시간을 했다. 무더위에 긴 경기시간이 팬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지는 자명하다.

타자들의 공세를 투수들이 막아내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엔 준수한 외국인 투수들이 대거 영입되며 그나마 투수전을 볼 수 있었지만 올해는 외국인 투수들이 기대만큼의 피칭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삼성은 벨레스터와 웹스터를 모두 바꿨고, 넥센 코엘로, 한화 마에스트리, 로저스, LG 코프랜드, kt 마리몬, SK 세든 등 무려 8명의 외국인 투수들이 시즌 중에 짐을 싸야했다.


대부분의 팀들이 외국인 투수들에게 원투펀치를 맡기는 것을 볼 때 1,2선발이 약해지면서 결국 선발 전체가 약화되는 모습을 보이게 됐다고 볼 수 있다.

더운 여름은 체력전이다. 현재 상황을 보면 투수들의 체력이 먼저 떨어진 것 같은 느낌이다. 그래도 새롭게 오는 외국인 투수들이 제 몫을 해주면서 마운드가 안정된다면 투수들이 타자들의 방망이를 이겨낼 수도 있다. 올해도 이어지고 있는 극심한 타고투저의 결말이 궁금하다.
권인하 기자 indyk@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페이스북트위터]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