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O리그 10개 구단 단장들이 최근 비공개로 가진 윈터미팅에서 그동안 논란이 됐던 '메리트(승리수당)'를 없애는 쪽으로 뜻을 모았다. 2016시즌 전에 세칙을 만들어 적용해보자는 것이다. 위반하는 구단에 제재금 10억원을 물리고, 실효를 거두기 위해 내부 제보자에게 보상금 10억원을 지급하는 방안도 논의가 됐다.
그동안 구단들은 승리에 눈이 멀어 '울며 겨자먹기'로 중요한 경기에 메리트를 걸어왔다. KBO리그가 승리지상주의로 흘러왔기 때문이다. 선수들의 경기력을 끌어올리기 위해선 때가 되면 반드시 메리트를 걸어야 했다. 이 맛에 길들여진 선수들은 구단에 메리트를 요구했다. 메리트가 난무하다보니 팀간 금액에도 과열 경쟁이 붙었다. 선수들은 다른 구단의 예를 들어 소속팀 프런트를 압박하기도 했다. 이런 악순환이 거듭되면서 한 구단의 1년 메리트 예산이 10억원을 훌쭉 넘겼다.
다수의 구단들이 메리트를 둘러싼 폐해에 진절머리가 났다. 한 구단의 고위 관계자는 "그동안 승리가 중요했다. 앞으로도 승리가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그동안 해왔던 메리트를 계속 유지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과연 실효성이 있을까
단장들의 이번 움직임은 의미가 있다.
팀들은 2000년대 후반에도 메리트의 폐해를 고민했다. 자정 결의 차원에서 메리트를 없애기로 결의를 했지만 금방 일부 구단들이 합의를 깨트렸다. 당시엔 합의를 규정으로 못 박지 못해 구속력이 약했다.
이번에 좀 다르다. KBO는 이번 윈터미팅에서 나온 단장들의 목소리를 좀더 세부적으로 다듬어 세칙을 준비하고 있다. 또 KBO는 내년 1월 실행위원회(단장)와 이사회(사장)를 거쳐 규약으로 명문할 예정이다.
KBO는 실행위원회 전에 메리트 금지 규정 세칙을 만들어야 한다. 한국프로야구협회도 메리트 금지에 동참시켜야 한다. 선수들이 메리트 폐지를 반대할 명문은 크게 없다. 한 야구인은 "새 규정을 명문화하더라도 구단들이 잘 지켜야 실효성이 있다. 규정을 피해 몰래 위반하는 사례가 나온다면 제재금 수위를 더 높여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노주환 기자 nogoon@sportschosun.com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news@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