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LG, 중심 타선이 못 치면 답 없다

임기태 기자

기사입력 2015-06-01 08:14 | 최종수정 2015-06-01 08:14


LG 박용택

LG가 주말 3연전 싹쓸이 패배를 당했습니다. 삼성을 홈 잠실구장으로 불러들여 치른 5월 29일 경기부터 31일 경기까지 내리 패했습니다.

3경기 27이닝 동안 LG 타선이 뽑아낸 점수는 5점입니다. 한 경기에 5점을 뽑아도 승리를 장담할 수 없는 판국이니 LG의 3연패는 필연적입니다. 5득점 중 적시타는 단 1개였습니다. 30일 경기 3회말 2사 2루에서 오지환이 친 우전 적시타였습니다. 나머지 4득점은 희생 플라이나 내야 땅볼에 의한 타점이었습니다. 아웃 카운트를 늘리지 않고 점수를 얻으며 공격 흐름을 연결해 나가는 데 필수적인 적시타는 가뭄이었습니다.

LG 중심 타선은 3연전 동안 1개의 적시타도 치지 못했습니다. 29일 경기에는 박용택이 선발 출전하지 못해 양석환이 5번 타자로 출전했고 3번 타자는 이병규(7번), 4번 타자는 한나한이었습니다. 나머지 2경기는 박용택, 한나한, 이병규(7번)로 중심 타선이 구성되었습니다.

부상 선수의 속출로 인해 LG는 선발 라인업을 젊은 선수들로 채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심 타선만큼은 경험이 풍부한 선수들로 꾸리고 있습니다. 박용택, 한나한, 이병규(7번)라면 이름값과 능력의 측면에서 기대를 하는 것이 당연한 타자들입니다. 젊은 타자들이 지속적으로 터질 수는 없는 노릇이니 중심 타선이 해결해줘야만 득점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박용택은 삼성과의 주말 3연전에서 8타수 무안타에 그쳤습니다. 타점도 없었습니다. 볼넷 1개가 그가 얻은 전부였습니다. 출루나 단타가 필요한 순간에도 그는 퍼 올리는 스윙으로 일관했습니다. 상황에 걸맞은 베테랑다운 타격을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올 시즌 타격에 대한 방향성을 바르게 설정한 것인지 근본적인 의문을 자아내고 있습니다. 박용택의 시즌 타율은 0.275에 불과합니다.

한나한은 주말 3연전에서 11타수 1안타 1타점을 기록했습니다. 4번 타자의 중책을 맡아 장타를 쳐야 한다는 의무감 때문인지 3경기에서 삼진 5개를 당했습니다. 볼넷은 1개도 얻지 못했습니다. kt와의 주중 3연전만 해도 매 경기 안타를 터뜨렸으나 주말 3연전에는 침묵했습니다. 타격감이란 등락이 있기 마련이지만 팀이 어려울 때 분위기를 바꾸지는 못했습니다. 외국인 타자에 기대하는 바와는 거리가 있었습니다.

이병규(7번)는 주말 동안 삼성을 상대로 10타수 2안타 1타점이었습니다. 3명의 중심 타자 중 가장 나았던 이병규(7번)의 기록이 이 정도이니 중심 타선이 얼마나 빈공에 시달렸는지 드러납니다. 그는 개막에 앞서 4번 타자로 낙점되었지만 잦은 잔부상과 타격 부진으로 한나한에 4번 타자 자리를 내줬습니다. 이병규(7번)의 시즌 타율은 0.257, 득점권 타율은 그보다 더 낮은 0.195입니다. 삼진은 57개로 KBO리그를 통틀어 두 번째로 많습니다.

모든 구기 스포츠가 그러하듯 야구도 상대 팀보다 많은 점수를 얻어야만 승리할 수 있습니다. 득점 루트는 다양할 수 있지만 매 경기 테이블 세터의 기동력이나 하위 타선의 장타에 의존할 수는 없습니다. 결국 중심타선이 쳐줘야 합니다. 21승 1무 30패 승률 0.412로 9위로 처진 LG입니다. 중심 타선이 못 치면 답이 없습니다. <이용선 객원기자, 디제의 애니와 영화이야기(http://tomino.egloos.com/)>

※객원기자는 이슈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위해 스포츠조선닷컴이 섭외한 파워블로거입니다. 객원기자의 기사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news@sportschosun.com -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