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출하는 사구, 타자들도 문제있다."
최근 한국 프로야구는 사구로 몸살을 앓고 있다. 전에 비해 사구가 크게 늘어났다. 수치로도 확인된다. 30일까지 진행된 2015 KBO리그는 총 248경기였다. 이 중에 사구는 총 317개가 나왔다. 하지만 지난해 비슷한 경기수(249경기)를 치렀을 때 나온 사구 갯수는 251개였다. 오히려 1경기를 많이 치렀음에도 올해에 비해 사구가 무려 66개나 덜 나온 것이다. 때문에 사구의 증가는 2015시즌 초반 KBO리그의 트렌드라고 확실히 말할 수 있다.
![](https://sports.chosun.com/news2/html/2015/06/01/2015060201000042600000231.jpg) |
2015 KBO리그 롯데자이언츠와 한화이글스의 경기가 30일 울산 문수야구장에서 열렸다. 경기전 한화 이용규가 롯데 최준석에게 공에 맞은 부위를 보여주며 아픔을 호소하고 있다. 이용규는 전날 6회초 선두타자로 나와 린드블럼의 투구에 종아리를 강타당했다. 울산=최문영 기자 deer@sportschosun.com /2015.05.30/ |
|
그런데 이런 사구 증가의 이유에 대해 한화 이글스 김성근 감독(73)이 색다른 분석을 내놨다. 지금껏 사구의 증가에 대해 대다수 전문가는 '몸쪽 승부의 증가'를 들었다. 최근 몇 년간 계속되고 있는'타고투저' 시대에서 살아남으려는 투수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몸쪽 승부를 하는 데 따른 결과물이라는 것. 구체적으로는 몸쪽 승부의 빈도수는 늘어나는데 반해 제구력이 충분히 뒷받침되지 않기 때문에 사구가 늘어났다고 분석한다.
하지만 김 감독은 '타자 책임론'을 들고 나왔다. 타자들이 공을 피하는 방식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 김 감독은 31일 울산 문수구장에서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를 앞두고 "타자들이 제대로 피하지 못하는 거 아닌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과거 SK 와이번스 감독 시절, 제자였던 최 정과의 일화를 소개했다. 최 정은 현역 선수중 가장 많은 사구를 기록하고 있는 선수다. 올해 현재 158개의 사구로 현역 중에는 1위, 역대 통산 3위에 랭크돼 있다. 그러나 앞으로 9의 사구만 더 얻어내면 박경완(전 SK)의 KBO 통산 최다 사구기록(166개)을 넘어선다.
![](https://sports.chosun.com/news2/html/2015/06/01/2015060201000042600000232.jpg) |
2015 KBO리그 롯데자이언츠와 한화이글스의 경기가 29일 울산 문수야구장에서 열렸다. 한화 김성근감독이 롯데에 1-6으로 뒤지는 가운데 근심스런 표정으로 경기를 지켜보고 있다. 울산=최문영 기자 deer@sportschosun.com /2015.05.29/ |
|
이렇게 많은 사구를 기록한 최 정에 대해 김 감독은 "SK 시절에 크게 혼낸 적이 있다"고 했다. 최 정이 공을 제대로 피하지 않는 버릇을 갖고 있었기 때문. 김 감독은 "생각해보라. 공을 맞아서 다치면 자기 뿐만 아니라 팀에도 손해다. 그렇게 맞아서 나가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그래서 최 정에게도 공을 제대로 피하라고 몇 번이나 말했다. 그런데도 공을 뒤로 피하지 않고 몸만 틀어서 피하더라. 그러면 등이나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등에 당연히 맞는다. 29일 이용규도 그래서 맞았다"고 설명했다.
김 감독은 이어 "메이저리그 경기를 보면 어떤 선수도 몸만 비틀어서 피하는 동작을 하지 않는다. 몸쪽 공이 붙어서 오면 순간적으로 뒤로 물러나버리지 않나. 공을 완전히 피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한국 타자들은 대부분 몸만 비틀고 만다. 어려서 야구를 배울 때부터 '맞아서라도 1루에 나가라'는 식의 교육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런건 바람직하지 않다. 다치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김 감독은 현재 국내 타자들의 지나친 크로스 스탠스 역시 사구를 많이 초래하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김 감독은 "타석에서 앞쪽 다리(우타자는 왼쪽, 좌타자는 오른쪽 다리)를 홈플레이트 쪽으로 더 내딛는 크로스 스탠스는 하체쪽으로 공이 날아올 때 빨리 뒤로 물러나기가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용규와 김경언은 크로스 스탠스를 유지하고 있는 타자들이다.
울산=이원만 기자 wman@sportschosun.com
[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news@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