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2014 인천아시안게임에 참가한 대한민국 야구대표팀을 설명할 수 있는 키워드. 역시 '세대교체'일 것이다.
하지만 이런 우려는 이제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새로운 캡틴' 박병호가 선배들에 비해 전혀 뒤질 것없는 리더십과 압도적인 실력으로 대표팀의 든든한 '캡틴' 역할을 확실히 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강민호가 아닌 박병호를 주장으로 임명한 류 감독의 결정은 '신의 한 수'였다.
류 감독은 '주장'의 완장을 누가 차게 할 것인지를 두고 한참 생각했다고 한다. 사실 최종엔트리 발표 이전에는 류 감독이 2루수로 정근우를 선발해 경험많은 그에게 주장을 맡게할 것이라는 말도 있었다. 그만큼 단기전 국제대회에서는 주장이 큰 역할을 해야하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공수에서 주전급 활약은 당연히 해야하고, 여기에 별도로 선수들을 다독여 이끌어가는 능력까지 필요하다. 정근우는 충분히 고려할 만한 '캡틴 후보'였다.
이 약점마저 이번 아시안게임을 통해 충분히 극복됐다. 박병호는 준결승까지 4경기에서 타율 3할7푼5리(16타수 6안타)에 2홈런 5타점을 기록했다. 대만, 중국전에서 나온 2개의 홈런은 모두 승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시즌때와 변함이 없는 맹활약이다.
그런데 사실 이런 활약보다 더 중요한 것은 보이지 않는 박병호의 리더십 효과다. 젊은 선수 위주로 구성된 대표팀에서 박병호는 어엿한 '캡틴'으로서의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같이 공감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선수들을 이끈다. 태국과의 1차전이 열리기 전에는 자신이 직접 주도해 선수단 회식을 마련하기도 했다. 류 감독은 "(박)병호가 밥 좀 쐈다"며 껄껄 웃었다. 이 웃음의 의미, 단순히 맛있는 식사를 얻어먹어서는 아니다. 자신의 노림수대로 박병호가 '캡틴'으로서의 제 몫을 다해주고 있다는 것에서 오는 만족감이다. '캡틴' 박병호의 모습. 앞으로 꽤 오랫동안 한국야구의 상징으로 남을 듯 하다.
이원만 기자 wma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