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인천AG]中-日 무관심, 그들만의 리그가 된 AG야구

이명노 기자

기사입력 2014-09-28 10:52


야구 준결승전 2경기가 열린 27일 인천 문학구장. 여전히 야구장은 한국 취재진으로 가득했다. 한국 경기에 앞서 열린 대만과 일본의 준결승전 역시 한국, 대만, 일본 기자의 비율이 '5:4:1'이었을 정도다.

일본은 아시안게임에 프로 선수들을 파견하지 않는다.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때 프로와 아마추어 연합팀을 구성한 적이 있으나, 이때 참가한 프로 선수들도 2군 선수들이었다. 자국 내에서 아시안게임 자체에 큰 관심을 두지 않는 상황. 특히 야구는 완전하게 '아마추어 대회'라는 인식이 강하다.


27일 인천 문학야구장에서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 야구 준결승전 대한민국과 중국의 경기가 열렸다. 중국에 7대2로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한 대표팀 선수들이 경기 종료 후 중국 선수들과 하이파이브를 나누고 있다.
인천=송정헌 기자 songs@sportschosun.com/2014.09.27
아시안게임에 파견된 일본 취재진의 숫자 역시 매우 적다. 중국과 한국에 이어 종합순위 3위를 달리고 있는 나라로 보이지 않을 정도다. 이마저도 메달 가능성 위주로 취재를 하기에 야구장에 일본 취재진의 모습은 잘 보이지 않았다.

야구장에 취재를 온 기자들 역시 야구 담당기자는 아니다. 그들은 현재 자국 리그를 담당하고 있기에 아마추어 종목을 신경 쓸 여력이 없다. 야구에 있어 프로와 아마추어라는 선이 확실하다.

중국의 경우는 어떨까. 한국과 중국의 준결승전 때 중국 취재진은 손에 꼽을 정도였다. 일본보다 더 메달 가능성이 떨어진다고 보기에 관심이 적을 수밖에 없었다. 정작 중국 대표팀이 5회초까지 2-2로 맞서며 선전했지만,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경기가 끝난 뒤 공식 기자회견에서도 한국 기자들의 질문이 대부분이었다.

중국은 일본과는 상황이 조금 다르다. 외국인 감독을 데려오는 등 의외로 야구에 대한 투자를 했다. 하지만 자국에서 열린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끝으로 야구가 올림픽 정식종목에서 제외되자, 태도가 돌변했다. 각종 지원이 끊기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중국은 국가적 투자만 있다면, 특정종목을 육성시키는 능력은 충분한 나라다. 하지만 야구에 있어 손을 놓았다. 점점 '그들만의 리그'로 변질되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대만 야구대표팀이 27일 인천 문학야구장에서 열린 2014 인천 아시안게임 야구 준결승전 일본과의 경기에서 10대4로 완승을 거두며 결승전에 진출했다. 대만은 한국-중국 전의 승자와 28일 같은 장소에서 금메달을 놓고 맞붙는다. 승리가 확정된 경기 종료 후 대만 선수들이 그라운드에 나와 환호하고 있다.
인천=송정헌 기자 songs@sportschosun.com/2014.09.27
인천아시안게임 야구 종목을 보면, 결국 결승에 진출한 한국과 대만만 열을 올리는 모양새다. 하지만 징병제에서 모병제로 전환을 꾀하는 대만도 향후 선수들의 동기 부여가 고민거리다. 이번 대회 역시 선수 소집에 애를 먹었다. 대만프로야구연맹(CPBL)과 아마추어 사이의 관계도 좋지 않다는 얘기도 들린다.


그렇게 되면, 아시안게임 야구는 한국만 '병역 혜택'을 위해 프로 선수들이 나가 뛰는 대회로 전락하게 된다. 그런데 인천아시안게임 개최국인 한국도 이에 대해 충분히 노력하고 있는지는 의심스럽다.

27일 준결승전은 야구 종목에서 처음 공식 기자회견이 열린 날이었다. 하지만 각국의 한국어 통역들은 여전히 준비되지 않은 모습이었다. 야구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는 건 이해한다 쳐도, 의미 전달은 명확해야 한다. 심지어 한 통역은 기자회견 도중 휴대폰 벨소리도 꺼놓지 않았고, 휴대폰 때문에 재대로 된 통역을 했는지도 의심스러울 정도였다.

프로 선수들 위주의 대표팀을 구성했기 때문에 한국야구위원회(KBO)에서 선수단을 지원하고 있는데, 그들만이 고군분투하는 모양새다. 조직위원회나 아마추어 측의 움직임은 아쉽기만 하다.


이명노 기자 nirvana@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