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산 홈런 0개. 지난해 신생팀으로 이적한 뒤, 뒤늦게 야구인생의 꽃을 피웠지만 홈런과는 인연이 없었다. 그런데 올해 시범경기에서 그동안의 한을 풀듯 홈런을 때려내고 있다. 지난 겨울 그에게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
그런 김종호가 시범경기 들어 벌써 2호 홈런을 기록했다. 지난 9일 롯데전에서 1회말 상대 선발 송승준을 상대로 선두타자 홈런을 날리더니, 18일 두산전에선 2번타자로 나서 1회 솔로홈런을 날렸다.
게다가 모두 밀어친 홈런이다. 바깥쪽 공을 가볍게 밀어쳐 좌측 담장을 넘겼다. 장타력을 갖추지 못했던 김종호가 보여준 2개의 홈런은 그에게 분명한 변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하지만 중요한 건 기술적인 변화다. 김종호는 지난해 컨택트 위주의 스윙을 했다. 오랜 무명 생활 끝에 맡은 한 팀의 1번타자 자리, 어떻게든 출루를 해야겠다는 생각뿐이었다. 자연스레 배트에 공을 맞히는데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
아직 타격기술이 부족한 상황. 김종호는 지난 시즌부터 코칭스태프의 요구에 따라 꾸준히 폼을 교정하고 있다. 그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김경문 감독과 김광림 타격코치는 김종호에게 보다 간결한 스윙을 할 것과 타격시 손목을 좀더 많이 쓸 것을 주문해왔다.
|
김종호는 이제 조금씩 손목을 사용하는 법을 알아가고 있다. 최근 타격시 왼쪽 손목을 좀더 많이 쓰고 있다. 임팩트시 손목을 보다 빨리 덮는 것이다. 이는 타구를 보다 강하게 때릴 수 있는 비결이 됐다.
그는 이에 대해 "사실 첫 경기 때 나온 홈런은 바람의 영향도 있었다. 그런데 오늘은 정확한 타이밍에 맞았다"고 했다. 정확한 타이밍에 배트에 맞았다. 결과는 과거와 달리 장타. 분명 김종호의 타격은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사실 김종호는 1번타자 치고 삼진이 많은 편이었다. 지난해 정확히 100개의 삼진을 기록했는데 이는 7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김종호보다 위에 있는 타자들 중 대부분이 장타력을 갖춘 중심타자들이다. 대부분 1번타자들은 삼진 순위 아랫쪽에 위치한다.
김종호는 "사실 지난해엔 투스트라이크가 되면, '삼진을 당하면 안 되겠다'는 생각에 시달렸다. 공을 맞혀야 한다는 생각에 나쁜 공에도 방망이가 나가는 경우가 많았다"고 털어놨다.
기술적인 변화와 함께 심리적 변화도 있었다. 그는 "이제 볼카운트 0B2S가 돼도 의식하지 않으려 한다. 또 작년엔 보여줘야 한다는 생각에 조급했다. 이젠 한 시즌을 뛰었기에 스스로도 좀더 편안한 마음으로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직은 시범경기다. 하지만 김종호의 변화는 분명 인상적이다. FA 이종욱이 김종호의 뒤를 받치면서 최상의 테이블세터가 구축된 상황. 김종호의 타격이 업그레이드된다면 위력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김종호는 "정규시즌 때는 시범경기보다 집중력이 강해진다. 이번엔 시즌 때 꼭 홈런을 치겠다"며 활짝 웃었다.
이명노 기자 nirvan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