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사랑을 나누는 프로야구, 기부액수가 무려

권인하 기자

기사입력 2014-01-27 07:22


프로야구의 인기가 높아지는 만큼 사랑도 커지고 있다.

각 구단마다 팬들의 사랑을 받는만큼 돌려주기 위한 기부나 사회공헌 사업 등을 펼치고 있다. 선수나 감독이 직접 기부를 하는 경우도 있고, 스폰서와 함께 팀과 선수의 승리나 기록에 따라 기부금을 적립하기도 한다. 연말에 각 구단이 불우한 이웃에 연탄배달을 하는 장면은 흔히 볼 수 있는 장면이다.

스폰서와 함께 사랑을 만들어가는 것이 가장 일반적. 롯데는 부산은행 러브포인트 행사로 홈승리당 30만원, 송승준의 1승당 50만원, 강민호 홈런당 20만원, 손아섭 안타당 5만원 등의 항목에 따라 기부금을 모았고 총 3500만원이 불우이웃을 위해 쓰여졌다. 전준우는 사랑의 난방유 행사를 통해 루타당 20리터씩 적립했고, 총 450만원을 부산지역 2곳의 복지관에 기부했다. 롯데손해보험과 함께하는 희망포인트로는 무려 1억원을 모았다. 유니세프데이 때 안타와 탈삼진에 100만원, 홈런에 200만원씩 모아 부산시에기부했다.

KIA는 '타이거즈 러브펀드'로 무려 3억600만원이란 거금을 기부했다. 선수들의 경기 기록에 따라 선수 본인은 물론, 구단 프런트, 기아자동차 임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설정한 기부금을 매월 적립해 시즌 종료 후 적립된 기부금으로 다양한 활동을 펼치는 이색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 NC도 여러 연계 사업을 통해 약 1억원을 기부했다.

병원과 연계해 무료 수술을 도와주기도 했다. 인천의 바로병원은 SK 최 정의 홈런수와 문학구장에 위치한 바로병원 날개존으로 넘어간 홈런 수만큼 인공관절 무료 수술을 해주기로 했고 지난해 총 34명에게 무료 수술을 시행했다. 롯데 강민호도 도루저지 1회당 노인분들을 대상으로 무료 무릎 수술을 하기로 했고 좋은삼선병원에서 21명에게 무릎 수술을 해줬다. 송승준과 전준우는 승리와 홈런으로 성소치과와 함께 사랑의 틀니 행사를 해 총 19명에게 틀니를 제공했다.

직접 기부를 하기도 한다. 삼성 류중일 감독은 3년 재계약을 한 뒤 계약금 중 2억원을 불우이웃을 위해 기부했고, 최근 3년간 충주성심학교에 1000만원을 전달해왔다. 삼성의 큰형님인 진갑용도 최근 1억원을 사회복지시설에 기부했고, 4년간 60억원의 대박 FA계약을 했던 장원삼도 모교 경성대에 1억원을 전달했다. 많은 선수들이 남모르게 기부활동을 하는 경우도 많아 이를 정확히 계산하기 힘들다고.

야구를 관전하기 힘든 여건의 불우 이웃과 아동에게 무료 야구 관전의 기회를 주기도 한다. 두산은 지난해 약 2만4000명을 초청했다. 두산의 지난시즌 객단가가 약 9800원임을 보면 약 2억3500만원 정도의 수입을 포기한 셈이다. 다른 구단들도 많은 초청행사로 야구를 불우한 이웃과 나누고 있다.

구단이 사회공헌사업을 직접 진행하기도 한다. SK는 청소년의 인성과 체력을 키우기 위해 스포츠지수(SQ)를 개발해 보급에 힘쓰고 있다. 또 선수나 코치들이 직접 학교를 찾아가 야구교실을 여는 등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을 하고 있는데 지난해 여기에만 7억여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한화 역시 사회공헌 활동을 위한 E-프로젝트 TFT를 따로 만들어 다양한 지원 활동을 하고 있다.

각 구단의 주요 기부활동을 돈으로 환산하면 알려진 것만 계산을 해도 20억원을 훌쩍 넘는다.야구의 인기가 늘어남에 따라 야구팀과 선수들이 받은 사랑만큼 나누기 위한 활동 역시 활발해지고 있다. 올해는 얼마나 더 따뜻한 프로야구가 될까.
권인하 기자 indyk@sportschosun.com


16일 서울 송파구 거여동에서 프로야구 두산베어스가 '사랑의 연탄나르기' 행사를 펼쳤다. 이 날 두산베어스는 선수들과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시 사회복지회와 함께 소외된 이웃을 찾아 연탄 5,000장을 전달했다. 두산베어스는 올해 '베어스 송년의 날'을 뜻 깊은 봉사 활동으로 대신 했다. 유희관(왼쪽)이 정수빈과 밝은 표정으로 연탄을 나르고 있다.
거여동=송정헌 기자 songs@sportschosun.com/2013.12.16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