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베일 벗은 KIA 타선의 열쇠? '5번타자' 최희섭

이명노 기자

기사입력 2013-04-01 11:34 | 최종수정 2013-04-01 11:34



흔히 야구에서 4번타자를 타선의 중심이라 말한다. 하지만 조금 시각을 바꿔보면 어떨까. 2013 KIA 타선의 새로운 중심은 '5번 최희섭'이다.

KIA 타선이 베일을 벗었다. 지난해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한 KIA를 단숨에 '우승후보'로 만든 건 역시 막강해진 타선이다. 일단 FA(자유계약선수) 김주찬 영입으로 빈틈이 없어졌다. 1번 이용규, 2번 김주찬으로 이뤄진 테이블세터부터 압도적이다. 도루왕을 차지할 수 있는 두 타자가 선봉장에 선다.

하지만 차려진 밥상을 해치우는 클린업트리오는 유동적이다. 넥센과의 개막 2연전에서 정확히 나타났다. 30일 경기에선 이범호-나지완-최희섭이, 31일엔 김원섭-이범호-최희섭이 3,4,5번타자로 나섰다.

상대 선발투수, 그리고 당일의 컨디션에 따라 타순을 바꾸는 전략이다. 특히 중심타선에 가용자원이 많은 KIA에겐 효과적일 수 있다. 하지만 최희섭의 자리는 거의 고정될 것으로 보인다. 올시즌 KIA 타선 성공의 열쇠는 5번타자 최희섭이 쥐고 있다.

메이저리그에서 통산 40홈런을 때려낸 최희섭은 '4번타자' 이미지가 강한 선수다. 'L-C-K포(이범호-최희섭-김상현)'에서도 가운데에 이름을 올린 그다. 그만큼 KIA 타선에서 상징성이 있다. 하지만 최희섭은 국내 복귀 이후 부침을 겪었다. 2009년 33홈런으로 홈런 2위를 차지하기도 했지만, 2011년과 2012년엔 부상 등으로 인해 출전 자체가 적었다.

새로 부임한 김용달 타격코치는 최희섭과 일대일로 대화를 나누며 문제점을 찾아갔다. 가르치는 사람이 아닌, 야구 선배로서 진심 어린 조언을 통해 조금씩 최희섭을 변화시켜갔다. 부진 이후 마음의 문을 닫았던 최희섭도 김 코치의 손을 잡았다.


31일 광주구장에서 2013 프로야구 넥센과 KIA의 경기가 열렸다. KIA 김용달 타격코치가 최희섭의 타격을 지도하고 있다.
광주=정재근 기자 cjg@sportschosun.com/2013.03.31/
김 코치는 미국 애리조나에서 진행된 1차 스프링캠프 때 최희섭에 대해 "메이저리거 시절보다 좋은 타격을 할 수도 있다"고 자신했다. 대화를 통해 하체 이용하는 법을 깨닫게 했고, 타구 질 자체가 달라졌다는 것이다. '소통'이 최희섭을 바꿨다는 것이다.

또 하나, 김 코치는 최희섭의 부담감을 줄여주기 위해 5번타자로 자리를 이동시켰다. 역시 본인과 면담을 통해 결정한 것이다. 4번 자리는 부상을 떨쳐낸 이범호와 올시즌 한층 업그레이드된 나지완이 번갈아 맡는다. 특히 나지완의 경우 L-C-K의 부상 공백 때마다 4번 자릴 지킨 경험이 있다.


타선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4번타자 자리가 고정되지 않았다는 건 분명 위험부담이 따르는 일이다. 하지만 관점을 조금만 달리 가지면, 완벽한 'Win-win' 전략이다. 최희섭이 5번에서 좋은 타격을 해주면 그만이다. 타선의 중심이 5번이라고 봐도 된다. 상대 입장에선 두 명의 4번타자를 상대하는 듯한 부담감을 느낄 수도 있다.

'발상의 전환'. 그 결과는 어땠을까. KIA는 개막 2연전에서 14득점을 뽑아냈다. 모든 득점이 2사 후에 나왔다. 특히 첫 경기에선 10득점이 2사 후에 나오는 보기 드문 장면을 연출하기도 했다.

2사 후에 점수를 뽑아낸다는 것. 분명히 좋은 모습이다. 대개 2사 후라면 작전이 걸리기 힘들다. 외부요건이 개입되지 않고, 온전히 타자들의 힘으로 점수가 나왔다는 말이다. 그리고 어느 타순에서도 해결할 수 있는 집중력이 있다는 증거가 된다. 장타력 또한 수준급이다. 4번타자 나지완과 대타로 나선 신종길이 각각 홈런을 쳐냈다.

L-C-K포의 마지막 퍼즐이었던 김상현이 두 경기 연속 벤치를 지킬 정도로 KIA 타선은 꽉 찬 느낌이다. 그리고 그 중심엔 5번타자에 고정된 최희섭이 있다. 올시즌, 달라진 KIA의 화력을 감상하는 재미가 쏠쏠할 것 같다.


이명노 기자 nirvana@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