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롯데 팬심이 수상하다, 부산에 무슨 일이?

노주환 기자

기사입력 2013-03-31 15:38 | 최종수정 2013-03-31 17:17


롯데 팬심이 수상하다. 2013 프로야구 롯데와 한화의 경기가 31일 부산 사직구장에서 열렸다. 개막전 경기임에도 3루 관중석은 비어 있는 자리가 많이 보인다.
부산=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2013.03.31/

프로야구가 시작됐다. 그런데 구도 부산 사직구장에 이상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장에 빈 좌석이 보인다. 30일 롯데-한화전 개막전이 매진에 실패했다.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롯데 개막전은 6년 연속 매진됐다. 2만8000석 부산 사직구장이 가득찼었다. 그런데 2013시즌 시작부터 빈자리가 생겼다. 입장 관중은 2만6708명이었다. 롯데는 패색이 짚었던 경기를 9회말 뒤집어 6대5로 역전승했다. 롯데팬들을 흥분시킬만한 재미가 있었다. 하지만 31일 롯데-한화전 관중은 더 줄었다. 1만7828명이었다. 3루측 원정 관중석과 외야 자유석에 빈 좌석이 많이 보였다. 흥행 실패였다. 지난해에는 개막전 매진, 다음날 경기에선 2만7220명이 경기장을 찾았다. 그런데 올해 부산 팬심에 무슨 일이 벌어진걸까.

롯데 자이언츠는 자타공인 국내 최고 인기 구단이다. 최근 캘럽 조사에서도 롯데는 6년 연속으로 최고 인기 구단으로 드러났다. 롯데 구단도 스스로 그들의 마케팅 파워는 다른 8개팀과는 다르다고 말한다. 그런데 이번 개막전에서 매진이 안 된 경기장은 사직구장이 유일했다. 인천 문학구장, 광주구장, 대구구장이 모두 가득 찼다. 롯데의 티켓 파워를 감안하면 이번 매진 실패는 이례적이다. 롯데는 지난해 총 관중 130만명을 돌파했었다.

개막전 매진 실패는 사전에 그 기미가 보였다. 예매분이 이상하리 만큼 빨리 팔려나가지 않았다. 예매는 15일 시작했다. 개막전 하루 전까지도 외야 자유석이 2000여장 가까이 팔리지 않았다.

롯데 구단은 이런 현상을 몇 가지 원인으로 분석했다. 첫째는 부산의 경기가 침체돼 있다는 것이다. 시민들의 호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다. 롯데 구단은 올해 관중 목표(115만명)를 지난해 관중(136만8995명) 보다 16%나 적게 낮춰 잡았다. 롯데는 같은 그룹사인 롯데백화점의 매출액을 보고 경기를 예상한다고 한다. 그런데 올해 부산 지역의 경기가 지난해만 못하다는 예상이 나왔다고 한다. 따라서 어느 정도 관중 감소를 미리 예상했던 것이다.

둘째는 시범경기 성적(8위) 부진과 홍성흔(두산) 김주찬(KIA) 같은 대표 얼굴들의 타팀 이적이다. 롯데는 시범경기에서 타선이 부진했다. 방망이를 앞세웠던 롯데의 팀 컬러가 바뀌었다. 공격 야구가 아닌 마운드를 앞세운 수비 야구로 색깔이 달라졌다. 홈런 타자 이대호가 2년 전 일본 오릭스로 떠났다. 인기스타였던 홍성흔도 지난해말 친정 두산으로 FA(자유계약선수) 이적했다. 부산팬들은 강한 투수력으로 지키는 야구 보다 화끈한 방망이쇼를 펼치는 공격 야구를 좋아하기 마련하다. 하지만 지금의 롯데는 과거 같은 공격야구를 할 수가 없는 상황이다. 롯데 구단도 이대호 홍성흔이 떠났을 때 타자 보다는 투수력 보강에 힘을 썼다. 이기는 야구를 위해선 타선이 아니라 투수진을 보강하는게 낫다고 봤다.

또 일부에선 이번 매치업 상대인 한화가 약해서 이런 부진한 티켓 판매로 이어졌다는 분석도 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한화의 개막전 선발은 최강 에이스 류현진이었다. 하지만 류현진은 지난 시즌을 끝으로 메이저리그 LA 다저스로 이적했다. 올해 개막전 선발은 외국인 선수 바티스타였다. 또 한화는 전문가들로부터 NC와 함께 꼴찌 후보로 지목됐다. 김응용 한화 감독은 "우리를 꼴찌 후보라고 하니까 이렇게 경기장으로 팬들이 오지 않는 것이다"고 말했다.

게다가 롯데는 30년 가까이 지켜왔던 자신의 제2의 연고지인 창원시(마산 포함)를 빼앗겼다. 그 곳에 9구단 NC가 창단됐다. 아무래도 창원 지역에서 부산으로 경기를 관전하는 오는 팬들의 발길도 줄기 마련이다. 아직 NC는 개막전(4월2일)을 치르지 않았다.

롯데가 부산팬들의 발길을 야구장으로 되돌리는 건 좋은 성적과 재미있는 경기를 하는 수밖에 없는 것 같다. 그런데 재미와 성적 두 마리 토끼를 잡는게 무척 어렵다.
부산=노주환 기자 nogoon@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