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벌써 7번째 교체다. 이정도면 대표팀 선수 명단을 다시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제3회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대표팀이 소집도 되기 전부터 '부상 악령'이라는 암초를 만났다. 류중일 감독은 한숨만 내쉰다. 어수선한 대표팀. 과연 제대로 대회를 치를 수 있을까. 대표팀을 바라보는 시선이 엇갈린다.
일단 선수들의 이름값만 놓고 보자. 빠져나간 선수들은 메이저리거들을 비롯해 국제경험이 많은 에이스급 선수들이 대부분이다. 새로 합류한 선수들은 국가대표 경험이 거의 없는 선수들이다. 전력이 뚜렷하게 약화됐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럴 수밖에 없다. 대표팀 명단을 처음 작성할 때 포지션별 최고의 선수들을 선정한다. 새로 합류하게 된 선수들이 처음 뽑히지 못했다는 것은 실력, 경험 면에서 코칭스태프와 평가위원들의 눈에 들지 못했기 때문이다.
선수단 사기 문제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대표팀에 합류한 모든 선수가 잔부상을 안고 있고, 개인적으로 시즌 준비를 해야 할 때다. 하지만 동료들이 부상을 이유로 자꾸 빠져나간다면 애국심은 점점 허탈함으로 바뀔 수밖에 없다.
세대교체 신호탄…차라리 잘됐다
어차피 대회는 치러야 한다. 차라리 일찌감치 선수 교체를 마치며 팀 정비를 할 수 있는게 더 낫다는 시각도 있다.
교체 멤버로 이번 대표팀에 합류한 선수들은 하나같이 "정말 대표팀 유니폼을 입고 싶었다"며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송승준의 경우 소속팀 롯데 김시진 감독이 대표팀 합류에 난색을 표명했으나, 본인의 합류의지가 워낙 강해 김 감독도 꺾을 수 없었다는 후문이다.
부상을 안고있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시간을 갖고 싶어하는 선수들을 억지로 대표팀에 합류시키는 것보다는 의욕있는 선수들에게 기회를 주는게 더 나을 수도 있다. 새롭게 합류한 선수들도 이름값에서 조금 밀릴 뿐이지 실력차는 크지 않다고 평가하는 전문가들도 많다. 또, 한국 선수들은 국제대회만 나가면 똘돌 뭉치고 실력 이상의 것을 보여준다는 사실에도 기대를 걸고 있다.
또, 언제까지 대표팀이 봉중근, 김광현, 류현진 만을 찾을 수는 없다. 그동안 국제대회에서 큰 역할을 해줬던 선수들이지만 이들을 대체할 선수들의 발급도 시급한게 사실이다. 경험할 기회를 주지않고 "저 선수는 경험이 부족해 뽑지 않았다"는 말을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언젠가는 대표팀이 맞아야 할 숙제였다. 차라리 이번 WBC가 새로운 스타 탄생의 등용문이 되기를 기대하는 시각도 있다.
김 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