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WBC 양상문 코치 "새내기 투수 국내처럼만 던지면 돼."

권인하 기자

기사입력 2012-11-22 09:54 | 최종수정 2012-11-22 09:53


2013년 WBC 대표팀 예비명단을 보면 새로운 얼굴이 많다. 처음으로 WBC에 참가하는 투수들이 13명 중 6명이나 된다.

2009년에 이어 2회 연속 WBC 대표팀 투수코치를 맡은 양상문 코치는 "아무래도 2009년과 비교하면 전체적인 안정감은 떨어지는 편"이라고 했다.

지난 2번의 WBC에서 한국이 좋은 성적을 거둔 것은 경험이 많은 투수들이 마운드에 포진돼 팀을 이끌었기 때문이다. 2006년 1회 WBC에서는 박찬호 서재응 김병현 등 메이저리거들이 총출동해 4강 신화를 이뤄냈고 2009년엔 류현진 봉중근 김광현 윤석민 등 선발진과 임창용 정대현 오승환 정현욱이 버틴 불펜진은 세계의 강타자들을 물리치며 WBC 준우승의 쾌거를 만들어냈다.

이번 대표팀에도 류현진 김광현 윤석민 장원삼 등 지난대회 멤버들이 포진돼 있다. 그러나 류현진은 LA 다저스에 입단하게 되면 아무래도 WBC 출전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국내 최고 좌완투수인 류현진이 빠지는 것은 대표팀으로선 손해가 크다. 김광현은 어깨부상이 있어 아무래도 부상에 대한 우려가 남아있다. 지난대회서 일본전에 등판해 영웅으로 떠오른 봉중근은 불펜투수로 전업했다. 봉중근의 가세로 불펜진이 강화된 듯하지만 임창용이 빠진 것이 아쉽다.

김진우(KIA) 노경은 홍상삼(이상 두산) 박희수(SK) 유원상(LG) 손승락(넥센) 등이 새롭게 WBC 멤버로 뽑혔다. 국내에서 좋은 모습을 보였던 투수로 각팀에서 에이스 역할을 맡고 있다. 그러나 큰 국제대회에서 던진 적이 없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큰 대회 경험이 없다는 것이 문제인데 자신의 공을 던지느냐가 중요하다"는 양 코치는 "이들의 구위나 구질을 보면 국제대회에서도 충분히 통할 수 있다. 국내에서 처럼만 던져준다면 문제가 없을 것이다"고 했다.

이번 WBC 대표팀의 마운드는 세대교체의 모습이다. 새롭게 대표팀 유니폼을 입게된 투수들의 활약에 한국의 3회 연속 4강이 달려있다.
권인하 기자 indyk@sportschosun.com


제2회 WBC에서 한국대표팀 봉중근이 일본 이치로와 상대하는 모습. 스포츠조선DB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