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10승-통산100승-1000K, '재기' 배영수 대기록 세우다

이명노 기자

기사입력 2012-08-26 19:42



흔히 배영수하면 '베테랑', '노장'라는 생각이 떠오른다. 하지만 81년생인 그는 아직 만으로 31세다. 너무나 일찍 나이에 두각을 드러낸 탓에 그런 이미지가 형성된 것이다. 아직도 '왕년의', 또는 '원조' 에이스란 수식어가 붙는 것도 그 때문이다.

삼성팬들에게 앞으로도 오랜 시간 푸른피의 에이스로 불릴 배영수가 통산 100승을 달성했다. 26일 잠실 LG전에 선발등판해 7이닝 무실점으로 승리투수가 됐다. 7년만의 10승이자, 통산 100승. 지난 19일 두산전에서 승리를 거두며 시즌 9승과 올시즌 첫 번째 전구단 상대 승리투수가 된 지 정확히 일주일 만에 같은 곳에서 대기록의 주인공이 됐다.

배영수는 2000년대 초반, 국내 프로야구를 대표하는 우완 에이스였다. 경북고를 졸업한 배영수는 2000 신인드래프트서 1차 지명으로 삼성의 유니폼을 입었다. 2년차였던 2001년 13승(8패)를 올리며 기대를 모으기 시작했다.

2004년에는 17승을 올리며 그 해 정규시즌 MVP까지 차지했다. 현대와의 한국시리즈 4차전에선 총 116개의 공을 던지며 연장 10회까지 노히트노런 행진을 펼치기도 했다. 0대0으로 경기가 끝나 노히트노런이 인정되지 못한 게 아쉬울 뿐이었다. 어쨌든 혼신을 다한 그의 투구는 야구팬들에게 아직까지 회자되는 명장면이다.

그야말로 승승장구였다. 150㎞에 이르는 강속구를 펑펑 뿌릴 수 있었다. 하지만 투수의 팔은 영원하지 않았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3년 연속 두자릿수 승수를 올린 뒤 2006년 8승(9패)으로 부진했다. 팔꿈치가 탈이 난 것이다.

배영수는 2007년 1월 오른 팔꿈치 인대접합 수술을 받았다. 토미 존 서저리 후 구속이 오르는 케이스도 많이 보이지만, 배영수는 달랐다. 2008년 9승(8패)을 거두긴 했지만, 예전의 그의 모습이 아니었다. 강속구 투수가 아닌, 전형적인 기교파 투수의 모습이었다. 있는 힘껏 공을 던져도 140㎞도 안 나왔다. '이제 끝났다'는 소리까지 들었다. 그 좌절감은 본인 외에는 전혀 알 수 없을 것이다.

보다 천천히 몸을 만들었다면, 구속이 올랐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는 빨리 공을 던지고 싶었다. 돌이키기엔 이미 늦은 상태. 배영수는 피나는 노력으로 변화구 레퍼토리를 늘렸다. 예전이라면 직구와 슬라이더만으로도 승부가 됐겠지만, 변화가 필요했다.

슬라이더의 각은 살아났고, 이젠 포크볼과 체인지업, 투심패스트볼까지 자유자재로 던지게 됐다. 2009년 1승12패 평균자책점 7.26이라는 최악의 성적을 남긴 뒤 2010년과 2011년 6승을 거두며 조금씩 승리에 대한 감을 찾기 시작했다.


올시즌엔 구속도 140㎞대 중반까지 올라왔다. 직구 구속이 올라오니 그동안 갈고 닦은 변화구의 위력이 좋아졌다. 류중일 감독은 올시즌 배영수가 재기할 수 있었던 데 대해 묻자 "변화구가 아무리 좋아도 직구에 위력이 없으면 안 치면 그만이다. 하지만 스피드와 볼끝이 있다면, 변화구 역시 그 효과가 커진다. 140㎞대 중반의 공을 던지는 게 가장 큰 힘이다"라고 답했다.

배영수는 1회말 첫 타자 오지환을 5구 만에 삼진으로 돌려세웠다. 역대 23번째로 1000탈삼진을 달성하는 순간이었다. 바깥쪽 꽉 찬 133㎞짜리 슬라이더. 전성기 그의 강속구를 빛나게 해줬던 그 슬라이더였다.

비록 전성기의 모습은 아니었지만, 배영수의 100승은 빛났다.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기에 그렇다. 시즌 10승, 통산 100승, 1000탈삼진. 배영수의 야구 인생 2막은 이제 시작이다.


잠실=이명노 기자 nirvana@sportschosun.com


LG와 삼성의 2012 프로야구 주말 3연전 마지막 경기가 26일 잠실 야구장에서 펼쳐 졌다. 삼성 배영수가 선발 등판 LG 타선을 상대로 역투를 하고 있다. 배영수는 올시즌 20경기에 나와 9승 5패를 기록하고 있다.
잠실=조병관기자 rainmaker@sportschosun.com/2012.08.26/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