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땅볼 유도 비율 어느 투수가 높은가

노재형 기자

기사입력 2012-04-25 10:19 | 최종수정 2012-04-25 10:19


한화 박찬호는 올시즌 국내 무대에 데뷔해 땅볼 유도형 투수로 변신했다. 광주=김경민 기자 kyungmin@sportschosun.com

땅볼, 플라이, 삼진 가운데 투수가 가장 안정적으로 타자를 아웃시키는 방법은 역시 삼진이다. 타자가 진루할 기회조자 빼앗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땅볼과 플라이를 놓고 본다면 어느 것이 더 안정적인 처리 방법일까. 땅볼이다.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면 플라이보다는 땅볼이 장타가 될 확률이 작기 때문이다.

땅볼 유도가 많은 투수가 위기관리능력이 뛰어난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한화 박찬호는 메이저리그 시절 땅볼보다는 플라이를 더 많이 유도하는 투수였다. 박찬호는 1994~2010년까지 메이저리그 통산 땅볼과 플라이 비율이 0.79이었다. 플라이아웃을 10개 기록하는 동안 땅볼아웃은 약 8번 정도 기록했다는 뜻이다. 메이저리그 투수들의 땅볼과 플라이볼의 비율이 보통 1.0~1.2정도라고 하는데, 박찬호는 플라이를 많이 유도하는 투수였던 셈이다.

하지만 올해 한국 프로야구에 데뷔한 박찬호의 땅볼과 플라이 비율은 24일 현재 2.00(땅볼 22개, 플라이 11개)으로 메이저리그 시절과 비교하면 땅볼 유도가 확실히 많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이유는 구종의 다양화 때문이다. 메이저리그 전성기 시절 박찬호는 직구와 체인지업, 커브 등을 주로 던졌다. 그러나 2010년 이후에는 커터, 투심, 싱커 등 빠르게 떨어지는 변화구의 비율을 높였다.

일반적으로 싱커, 스플리터,투심 등 130㎞대 중반 이상의 떨어지는 변화구를 많이 던지는 투수들의 땅볼 유도 비율이 높다. 메이저리그에서 싱커의 달인이었던 케빈 브라운이나 왕첸밍 등은 땅볼과 플라이 비율이 3.0 이상이었다.

이날 현재 땅볼과 플라이 비율 순위 1위는 롯데 송승준이다. 그의 비율은 2.70이다. 송승준은 140㎞대 후반의 직구와 스플리터를 주로 던진다. 스플리터 역시 130㎞대 중반 이상의 속도를 가진 떨어지는 변화구다. 2위는 KIA 앤서니로 이 수치가 2.44다. 앤서니의 주무기는 직구와 체인지업이다. 3위가 바로 박찬호다. 변화구 비율을 높이면서 플라이보다는 땅볼 유도가 많아졌음을 알 수 있다.

지난해 땅볼과 플라이 비율이 가장 높았던 두 투수는 SK 로페즈(전 KIA)와 두산 김선우였다. 로페즈는 150㎞에 육박하는 싱커를 50% 이상 던지는 투수다. 김선우는 스플리터와 투심을 즐겨 던진다. 두 투수는 땅볼, 특히 병살타 유도 비율이 높은데 이것은 바로 빠르게 떨어지는 변화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노재형 기자 jhn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