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룡영화상후보작

스포츠조선

MVP 신인왕 투표 3가지 개선사항

노재형 기자

기사입력 2011-11-08 14:15 | 최종수정 2011-11-08 15:58


KIA 윤석민과 삼성 배영섭이 7일 실시된 기자된 투표에서 각각 가장 많은 표를 얻어 MVP와 신인왕으로 선정됐다. 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

2011년 MVP와 신인왕은 각각 KIA 윤석민과 삼성 배영섭이 차지했다. 두 선수는 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열린 기자단 투표에서 각각 최다 득표를 해 수상자로 결정됐다. 2위 득표자와 워낙 차이가 커 결선투표는 진행되지 않았다. 물론 두 선수가 각각 월등한 기량을 과시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 그러나 이와 무관하게 지금의 MVP 및 신인왕 결정 시스템에는 근본적으로 3가지 개선할 점이 있다. MVP와 신인왕 선정이 한 시즌을 마감하는 축제의 행사라고 본다면, 객관성, 효율성 등이 더욱 확보돼야 한다. 투표 시점, 투표 방식, 후보자 선정 등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투표 시점 적절한가

프로야구 대회요강에는 MVP와 신인왕 선정 기준이 '선수권 대회'로 돼 있다. 선수권 대회란 포스트시즌을 포함한다. 기자단 투표가 한국시리즈 종료 후 이뤄지는 이유는 그 때문이다. 투표 날짜와 장소는 한국야구위원회(KBO)와 한국야구기자회가 협의해 결정한다. 하지만 MVP와 신인왕에 대한 기준은 오로지 페넌트레이스에 한정시켜야 한다. 형평성 때문이다. 현재의 방식 아래에서는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지 못한 팀 소속 선수들이 상대적으로 불리하다. 실제로 역대 30명의 MVP 가운데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팀 소속이었던 선수는 83년 삼성 이만수와 2005년 롯데 손민한 둘 뿐이다. 포스트시즌 활약상이 MVP와 신인왕을 뽑는데 상당한 영향을 줬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최근 몇 년간 논의가 있었지만, 개선에 대한 뚜렷한 합의점이 나오지 못했다. MVP와 신인왕 선정 기준이 오직 페넌트레이스 기준이어야 하는 이유는 또 있다. 포스트시즌에서는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한국시리즈 등 각 시리즈별로 MVP를 따로 선정한다. 굳이 포스트시즌 활약상까지 포함해 정규시즌 MVP를 뽑는 것은 그래서 불합리하다. 페넌트레이스 종료 직후 투표를 하는 것이 객관적이고 형평성에도 맞는다는 이야기다. 메이저리그에서는 페넌트레이스 종료 직후 전미야구기자협회(BBWAA) 기자단이 투표를 하고 월드시리즈가 끝난 뒤 발표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집단적 투표가 옳은가

MVP와 신인왕은 한국야구기자회 소속 기자단이 투표를 통해 결정한다. 말이 기자단 투표지 집단의 투표라고 보는 게 옳다. 한국야구기자회에는 신문, 방송, 통신사에 걸쳐 22개의 언론사가 가입해 있다. 한국야구기자회 회칙 '제3조 1항 a'는 투표 방식에 대해 '투표권은 본회 기자수에 의거 종합일간지 및 방송, 통신사 3표, 스포츠전문지 5표를 주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 같은 항 b는 '투표권은 매체별로 최대 3~5표를 넘지 못한다'고 돼 있다. 즉 MVP, 신인왕 투표가 한국야구기자회 소속 각 언론사의 집단적 의사에 의해 이뤄진다는 것이다. 개별 기자의 의사가 반영될 여지가 줄어든다. 프로야구 출입 개별 기자들의 생각이 아닌 언론사 집단의 의사에 의해 MVP와 신인왕이 결정된다는 뜻이다. MVP와 신인왕의 가치 판단 역시 골든글러브와 마찬가지로 개별 기자의 몫이 돼야 한다. 개인 의사가 집단 의사에 묻힌다면 객관성과 권위는 떨어질 수 밖에 없다. 투표권 자격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논의할 부분이 있지만, 선수들과 직접 부딪히고 취재하는 개별 기자의 의사는 반드시 존중돼야 한다. MVP와 신인왕 투표만큼은 '직접 민주주의'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옳다. 메이저리그의 경우 연고 도시별로 BBWAA가 선정한 2명의 기자가 MVP와 신인왕 투표에 참가한다. 투표 기자수는 내셔널리그 32명, 아메리칸리그 28명이다.

꼭 후보를 정해야 하는가

앞에서 언급했듯 MVP와 신인왕을 뽑기에 앞서 KBO와 한국야구기자회는 논의를 통해 부문별로 2~6명의 후보를 정한다. 그렇지만 뚜렷한 후보 선정 기준이 마련돼 있지는 않다. 예를 들어 '규정타석, 규정투구이닝을 넘겨야 한다'든가, '타율 3할, 10승, 20세이브 이상을 올려야 한다' 등 구체적인 기록 기준이 정해져 있는게 아니다. 해마다 전체 선수들의 전반적인 기록에 따라 기준이 정해지는 때도 있지만, 통일성은 없다. 이 얼마나 권위가 떨어지는 방식인가. MVP란 글자 그대로 '가장 가치로운 활약을 펼친 선수'다. 가치의 기준은 '팀에 얼마나 많은 공헌을 했는가', '팬들을 얼마나 즐겁게 해줬는가' 등이다. 그 기준을 정하는 것은 개별 기자의 몫이 돼야 한다. 투표권을 지닌 개별 기자들의 '양심적' 판단에 따라 뽑으면 그 뿐이다. '딱' 찍어서 후보를 정해놓을 필요는 없다. 결과를 펼쳤을 때 표를 받은 선수가 1명이든 20명이든 숫자는 중요하지 않다. 가장 많은 표를 얻은 선수가 수상자가 되면 된다. 물론 개별 기자들의 감정적, 주관적 요소가 개입될 수는 있지만, 그 조차도 투표권자의 권리로서 존중해줘야 한다. 그렇다 하더라도 투표권자들의 의견이 상식적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다는 점에서 '객관성 손실'을 우려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한 표라도 지지를 받는 선수가 많아진다면 MVP와 신인왕 선정에 대한 팬들의 관심과 흥미도는 더 높아질 수 있다.
노재형 기자 jhn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