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인구 절벽' 다가온다, V리그 미래는 육성에 달렸다

임정택 기자

기사입력 2017-04-26 22:32


사진제공=한국배구연맹

사진제공=한국배구연맹

미래는 새싹에 달렸다. V리그도 마찬가지, 유소년 육성은 미래를 위한 씨뿌리기다.

26일 강원 춘천 엘리시아 강촌에서 2017년 한국배구연맹(KOVO) 통합 워크숍이 진행됐다. 140여명의 배구 관계자 모인 워크숍 열기는 뜨거웠다. 구자준 KOVO 총재의 인사말로 막을 올린 행사는 도핑과 부정방지교육, 2016~2017시즌 V리그 리뷰가 이어졌다. 5개 조로 나누어 진행된 분임토의는 이날 워크숍의 핵심이었다. 의제는 세 가지. 연고지 육성학교 운영(초등학교) 2군 리그 운영 비디오판독 제도 개선이었다.

KOVO 관계자와 실무자의 눈은 연고지 육성학교 운영으로 쏠렸다. 모두 한 마음이었다. '유소년 선수 육성과 저변 확대를 통해 V리그의 미래를 밝히자.' 출산율 저하, 고령화로 인한 유소년 선수 인구절벽에 대한 대비책이었다.

현실은 심각하다. 1000만 수도 서울에 배구부를 갖춘 초등학교는 단 세 곳 뿐. 다른 도시들은 단 1개 학교 또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마저도 감소 추세다. V리그를 이끌어갈 '씨앗' 자체가 줄어들고 있는 현실이다.

다가올 위협에는 모두 공감했다. 하지만 구체적 대책 방안에 대한 생각에는 차이가 있었다. KOVO는 '구단 주도형 초등부 선수 육성'을 주장했다. 구단 예산을 투입해 초등 배구부를 창단·운영해 풀뿌리 배구 저변을 갖추자는 게 요지다.

하지만 구단은 난색을 표했다. 어린 선수를 키워 한국 프로배구의 근간을 지탱해야 한다는 주장엔 고개를 끄덕였다. 하지만 현 상황에서 초등 선수를 프로까지 키우는 건 위험부담이 크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KOVO측에선 구단 육성으로 성장한 선수에 대한 우선 지명권을 보장한다는 '당근'을 제시했으나 접점을 찾지 못했다.

구단 관계자들은 대학 또는 고등부 선수 우선지명권 확보를 요구했다. 단기에 거둘 수 있는 가시효과를 통해 체육 유망주들이 프로 배구단에 입단할 수 있다는 비전을 제시하는 게 우선이라는 논리였다. 그러나 이는 이미 지난해 논의됐던 사안. 당시 지역별 명문 대학, 고등학교 편중이 심해 '형평성 문제'가 대두돼 접어둔 카드였다. KOVO가 이번 워크숍에 초등부 육성안을 꺼내든 이유다.

아쉽게도 진전은 없었다. 올해로 3년째 제자리 걸음이다. 위기에는 모두가 공감했다. 목표도 같다. V리그 '생존과 발전.' V리그 명맥을 잇기 위한 단 하나의 끈, 결국 육성이었다.


2군 리그도 '뜨거운 감자'였다. KOVO는 비주전 선수 경기력 향상을 위한 2군 리그 운영을 제안했다. 구단은 한 발 물러섰다. 문제는 비용이었다. 역시 대전제엔 뜻을 함께 했다. 더 많은 선수들이 뛸 무대를 마련하자는 것. 이를 통해 어린 선수들에게 비전을 제시하자는 취지다.

마지막 비디오 판독 개선 논의까지 '영양가 있는 불협화음'은 계속됐다. 뜨거운 목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눈은 빛났다.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대척점에 섰으나 V리그 미래를 향한 마음은 하나였다. 그렇게 서로의 '교집합'은 조금 더 넓어졌다.

발전적 토의를 마친 KOVO는 발표 내용들을 실무자 회의에 올려 제도화에 나설 계획이다.
춘천=임정택 기자 lim1st@sportschosun.com

현장정보 끝판왕 '마감직전 토토', 웹 서비스 확대출시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