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안과 김동현 교수 연구팀은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류홍열 교수팀과 함께 세계 최초로 군날개(익상편)의 원인을 규명하고, 새로운 진단 바이오마커를 제시했다.
또한, 연구팀은 군날개 환자의 H3K9me3 수준이 정상군 대비 10배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H3K9me3는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데, 연구팀은 H3K9me3 증가가 6가지 주요 유전자(ANK2, AOAH, CBLN2, CDH8, CNTNAP4, DPP6)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6가지 유전자는 유방암, 파킨슨병, 췌장암 등 다양한 질병과 연관돼 있어, H3K9me3 증가가 해당 질병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고, 이는 군날개가 단순한 안구질환을 넘어, 다른 전신 질환과도 관련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 김동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세계 최초로 군날개에서 H3K9me3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며 "H3K9me3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주요 요소인만큼, 이를 활용해 군날개 조기 진단과 치료 전략을 새롭게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또한 "H3K9me3를 활용한 바이오마커 진단법이 개발된다면, 군날개의 진행 가능성과 재발 여부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 논문은 안과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 'BMC Ophthalmol'에 최근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