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심장의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 대동맥판막이 석회화되어 잘 열리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심장이 수축할 때 대동맥판막이 제대로 열리지 않으면 대동맥의 혈류가 원활하지 못해 흉통과 실신, 호흡곤란 등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돌연사의 위험도 있으므로, 고령 환자라면 주의가 필요하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박유경 교수는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심장초음파 검사를 통해 협착 유무와 중증도를 판단 및 진단한다. 경증은 약물치료를 먼저 시행하고, 중증일 경우 신속하게 수술 또는 시술받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대동맥판막 치환술'은 손상된 대동맥판막을 제거하고 금속 재질의 인공 판막 혹은 돼지나 소의 심장 조직을 특수 처리해 만든 조직 판막으로 치환하는 수술이다. 최근에는 판막을 치환하기 위해 봉합하는 실을 사용하지 않거나 덜 사용하는 '비봉합 대동맥판막치환술(Sutureless)'이나 '신속거치 대동맥판막치환술(Rapid depolying)'등을 이용해 인공심폐기 시간과 심정지 시간 절감이 이뤄지고 있다.
이어 "최근 우리나라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면서, 대동맥판막협착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이 무서운 이유는 초, 중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 협착 정도가 심해지면 갑작스럽게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고령층이 가슴 통증이 있거나 숨이 차면 가볍게 넘기지 말고 제때 정확한 검사와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