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무탄소 항만 인프라 확대, 수소공유대학·수소동맹 결성
(부산=연합뉴스) 조정호 기자 = 수소는 지구에서 가장 풍부한 자원으로 연소 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 화석연료보다 에너지 효율이 높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 유럽, 미국, 일본 등 세계 각국은 수소 생산, 저장, 이동, 활용을 위한 기술개발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고 있다. 최근에는 자동차, 화물차, 선박, 드론 및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에 수소 에너지를 사용하거나, 상용화를 위한 실증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해외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고부가가치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성장을 위해 수소경제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수소를 이용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지역에 공급하는 분산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준비되고 있다.
부산시는 이러한 수소의 장점을 활용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해양분야를 특화한 '글로벌 수소경제 그린도시' 정책을 마련했다.
14일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 9월 부산항 우암부두 해양산업클러스터에 국내 최초 친환경 수소선박 연구개발 특화 연구기관이 들어섰다.
총사업비 405억원을 투입해 4천902㎡ 부지에 지상 4층, 전체면적 2천911㎡ 규모로 조성된 친환경 수소연료선박 R&D 플랫폼은 수소를 연료로 사용해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선박과 액화수소운반선의 핵심기술을 시험하고 평가할 수 있는 연구기관이다.
시는 이곳에 수소선박 및 해양수소 기자재 분야 기술개발과 실증, 시험평가 인증 등을 연계해 기업들의 사업화를 지원한다.
이곳에 있는 부산대 수소선박기술센터는 부·울·경 경제동맹 사업으로 3개 시도가 2026년까지 469억원을 투입해 해양 쓰레기를 수거해 수소에너지로 활용하는 선박을 개발해 실증한다.
하지만 이 사업은 지난해와 올해 국비 예산 삭감으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부산시는 항만도시의 강점을 살리기 위해 2030년까지 부산항 신항에 무탄소 에너지 복합 인수기지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수입된 에너지를 수소로 전환해 육·해상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의 경우 신항 부지 매립 등에 필요한 사업비가 1조원대로 늘어나 국비 확보와 민간투자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부산시는 해양수산부가 주관하는 제4차 항만기본계획에 이 사업이 반영되도록 하고 사업에 참여할 대기업 유치에 힘을 쏟고 있다.
강서구 미음·녹산산단과 연계해 가덕도신공항 두문지구 신재생에너지 거점 단지에 해양수소 특화단지를 조성해 새로운 혁신거점을 계획 중에 있다.
시는 암모니아 규제자유특구 사업을 통해 암모니아 선박 건조, 실증사업을 2025년까지 진행하고 있다. 암모니아는 무탄소 선박 연료로 사용되고 그린수소를 추출해 공급하는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시는 2025년까지 수소충전소 32기를 구축하고, 2027년까지 수소버스는 1천대를 보급할 예정이다.
부산시는 부산대와 동아대 등 지역 대학과 협력해 수소경제 활성화를 이끌 수소전문가 양성에도 나섰다.
부산권 12개 대학과 수소전문 기업이 참여해 수소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부산수소공유대학이 지난 2월 출범해 '수소가스 분석·수소경제 전문가 과정'과 '수소모빌리티 전문가 과정'으로 나눠 15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부산대 수소선박기술센터, 부산테크노파크, 동아대 클린에너지 융합부품 소재 사업단, 부산수소동맹 등이 수소공유대학을 지원하고 있다.
부산에는 수소기업 간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44개 사가 결성한 '부산 수소동맹'이 운영 중이다. 이들은 수소산업에 대한 정보 공유와 상생 협력 기반을 조성해 다양한 수소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제명 부산대 수소선박기술센터장은 "수소는 무탄소 연료로 온실가스 저감과 탈탄소화 대안으로 주목 받으면서 미국, 일본, 유럽 등에서 기술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며 "부산이 수소연료와 액화수소 운반 실증과 기술 상용화를 선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ccho@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