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어깨질환인 회전근개 힘줄 파열은 대체로 남성보다는 중년 여성들이 더 많이 겪는다고 알려져 있다.
회전근개 파열의 증상은 주로 어깨 관절의 전면과 위 팔뼈 주위에서 발생한다. 팔을 들거나 손을 등 뒤로 했을 때, 어깨를 비트는 동작을 할 때 가장 통증이 심하다. 팔의 운동 범위 감소, 팔을 움직일 때마다 어깨에서 '삐걱'거리는 마찰음 소리가 날 수 있으며, 파열이 진행되면 밤에도 통증 (야간통)을 심하게 일으켜 일상생활에 악영향을 끼친다.
야간통 이유에 대해 남신우 병원장은 "어깨는 견봉과 상완골두 사이엔 일정한 간격이 유지돼야 하는데 낮에는 서있거나 앉아있기에, 중력으로 인해 간격이 유지되지만, 야간에 누운 자세에서는 관절 간격이 좁아지면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남신우 병원장은 "통증이 경미하더라도 반복적으로 나타나거나, 증상 악화시에는 전문의 진단을 최대한 빨리 받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파열 범위가 회전근개 손상이 초기인 경우 약물, 주사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회전근개 파열의 비수술적 치료는 약물 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신장분사치료, 주사치료 등을 통해 이뤄진다. 주사 치료의 경우 마취나 절개를 하지 않고 외래에서 시행 하기 때문에 고령환자나 만성질환이 있는 환자도 충분히 치료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완전 파열 상태로 진행 하거나 비수술적 치료에서 호전되지 않으면, 관절 내시경을 통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관절내시경은 해당 부위에 약 5㎜ 미만의 최소 절개를 진행한 후, 특수 소형카메라가 달린 관절 내시경과 특수 기구를 삽입한다. 이 기구는 MRI 촬영 사진으로 보기 힘든 세부 부위까지 상태를 파악해 정확한 진단과 정밀한 치료가 가능하다.
남신우 병원장은 "관절 내시경 술법은 절개 부위가 작아 손상이 적기 때문에 입원 기간이 짧고 수술 후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며 "수술 후에는 4~6주 정도 보조기를 착용하며, 근력을 사용하는 운동은 수술 후 2~3개월 이후 시작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