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매년 3월이면, 아이들이 어린이집, 놀이학교, 유치원 여러 유아 기관에 입학하고 또래들과의 생활을 시작한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안재은 교수의 도움말로 정리했다.
아이가 만 3세 이전의 나이라면, 분리 불안을 보이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다.
아이들이 세상에 태어나 생후 6-7개월이 되면 엄마를 알아보고 엄마로부터 심리적인 안정을 찾게 되기 때문에, 엄마와 떨어지는 것에 대해 불안을 느껴 잠시도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는 '분리 불안'이 나타나게 된다.
분리 불안은 생후 7-8개월경에 시작해 14-15개월에 가장 심해지고, 3세까지 지속된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부모와 분리 되는 것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어 새로운 유아 기관에 적응하는데에 시간이 필요하다.
만일 아이가 등원 거부를 한다면 아이가 엄마 아빠가 눈앞에 보이지 않아도 괜찮다는 것을 차근차근 가르쳐주고 적응해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엄마가 나와 함께 있지 않아도, 내 눈 앞에 보이지 않아도 항상 나를 지켜보고 있고 존재한다는 것을 느끼기 위해서는 아이가 마음이 자라나는데에 시간이 필요하다.
이 때 엄마가 아이에게 일관된 반응을 보이는 안전기지가 되기 위해 의연한 태도로 안정감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들이 분리 불안을 보이고, 등원을 거부할 때 엄마가 더욱 불안해하고 힘들어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엄마의 불안을 아이가 느끼게 되면 아이의 불안을 더욱 악화시키게 된다. 엄마의 불안을 조절하고 안정된 태도로 아이의 안식처가 되어주고, 아이가 안정을 찾을 수 있는 대상이 되어야 한다.
엄마에게서 안정감을 찾고 충전한 아이들이 새로운 것을 향해 나아갈 용기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숙지하고 아이를 도와야 한다.
아이와 일정한 시간에 헤어지고, 일정한 시간에 데리러 가는 등 아이 일상에 루틴을 만들어주고, 인사하고 헤어질 수 있도록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아이가 엄마와 떨어져 잘 생활해낸 점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듬뿍 칭찬을 해주고 격려해주는 것도 잊어서는 안된다. 더하여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하고, 친척, 이웃, 또래 아이들과 접할 기회를 늘려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안재은 교수는 "영유아 초기 부모와의 애착 관계가 결국 인생 전반에 걸친 행복과 사회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모와 더욱 강하게 안정적인 애착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러한 경우 외에도 새로운 공간, 낯선 공간, 낯선 사람들에게 적응하는데에 조금 더 시간을 필요로 하는 친구들이 등원을 힘들어하기도 한다.
우리 아이가 낯선 공간에 적응하는데에 시간이 걸리는 편이라면, 주말에 미리 유아 기관 주변을 방문해 본다던지, 유아 기관에 등원하는 길에 익숙해질 수 있게 연습해 본다던지, 유아 기관에서의 생활을 미리 연습하고 아이가 지낼 환경, 새로운 일과 생활을 예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아이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다면, 다른 친구들보다 좀 더 시간이 걸리더라도 차츰차츰 단계적으로 적응해나가는 시간을 늘려가는 것도 방법일 수 있다.
이외에도 간혹 아이들이 다른 아이들과 상호작용 하는데에 힘들어 하는 경우도 있어, 또래들과 상호작용이나 단체 활동에서 아이가 어떻게 적응하고 지내는 편인지, 또래관계는 어떠한 편인지 살필 필요도 있다.
평소 잘 등원하던 아이가 갑자기 등원하지 않으려고 한다면 건강의 문제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주말의 여행, 불규칙한 일과 후, 소진된 에너지가 재충전되지 않는 경우, 어딘가 아파 몸이 불편한 경우에도 아이가 떼를 쓰고 등원하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도 있다.
가정 내에 큰 환경적인 변화가 있을 때에도 아이가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새로운 일이 계획되어 있거나 환경의 변화가 계획되어 있는 경우 아이에게도 충분히 적응할 수 있는 시간을 주어야 한다. 아이들에게도 루틴한 규칙적인 생활이 중요하고, 휴식이 필요하다.
아울러 유아기관에서 우리 아이가 겪고 있는 어려움은 없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래 관계나, 바뀌는 환경에 아이가 적응하는데에 어려움은 없는지 파악하고, 교사는 아이의 어려움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도움을 주어야 한다. 교사와 협력하여 아이의 등원 거부 사실을 공유하고, 함께 아이의 어려움에 대해 파악하고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안재은 교수는 "어른이 되어서도 새로운 시작은 설렘과 동시에 낯설고 두려운 마음이 들어 힘든 것처럼 첫 사회 생활을 시작하는 우리 아이들에게 새로운 시작과 적응은 당연히 어려울 수 있는 과제다"면서 "아이가 편안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아이의 마음을 적극적으로 살피고 도와준다면 우리 아이들도 힘차게 새로운 시작을 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